본문 바로가기

arts management

(44)
Ximena Varela. (2013), Core Consensus, Strategic Variations: Mapping ArtsManagement Graduat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Ximena Varela. (2013), Core Consensus, Strategic Variations: Mapping ArtsManagement Graduat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43, 74–87. 발견점 미국 대학 내 예술경영 커리큘럼에 대한 종합을 시도하고 코어 커리큘럼을 밝혀냄 ARTS MANAGEMENT AS AN ACADEMIC DISCIPLINE 예술경영계의 간단한 역사 여기에 근거해 몬텐츠 분석하고 매핑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연구 질문에 대답 연구질문 1. 현재 대학 예술 경영 수업은 어떠한 형태인가? 2. 이 수업이 어떤 대학(예대, 상대 등)에 속하는가? 3..
Seckin, A., Atukeren, E. (2009). Investment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for paintings in Turkey:1990–2005 Seckin, A., & Atukeren, E. (2009). Investment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for paintings in Turkey: 1990–2005. Investment Management and Financial Innovation, 6(2), 7–14. Joonwoo Nahm (2010). Price determinants and genre effects in the Korean art market: a partial linear analysis of size effect, J Cult Econ, 34, 281–297. 283쪽에서 작품 가격 연구는 가격 지수 계산과 관련되어 연구되어왔지만 주로 헤도닉 모형을 사용해 연구되어왔다는 맥락에서 언급되었다...
Einav, L., Ravid, S. A. (2009). Stock market response to changes in movie’s opening dates Einav, L., & Ravid, S. A. (2009). Stock market response to changes in movie’s opening date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33, 311–319. Hyun Joung Jin, Jang-Chul Kim (2018). Effects of the ‘‘Gangnam Style Syndrome’’ on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 J Cult Econ, 42, 139–161. 140쪽에서 주식 시장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로 언급되며 영화 개봉일 변동 뉴스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연구로 언급되었다. 발견점 영화 개봉일 변동 뉴스는 변경일자를 확정하든 아니든 시장에 부정적..
F.L.F.Lee (2009). Cultural discount of cinematic achievement: the academy awards and U.S. movies’ East Asian box office Francis L. F. Lee (2009). Cultural discount of cinematic achievement: the academy awards and U.S. movies’ East Asian box office, J Cult Econ, 33, 239–263. 발견점 1 Introduction 2 Cultural discount and U.S. movies’ foreign box office 3 The Academy Awards as indicators of cinematic qualities and achievement 어워드 수상은 상영 막바지에 이루어져 실제 흥행에 효과가 적긴 하다. 그럼에도 어워드 변수를 넣어서 영화의 경제적 측면을 살펴보는 연구가 많다. H1 U.S. movies’..
J.W. Nahm (2010). Price determinants and genre effects in the Korean art market: a partial linear analysis of size effect Joonwoo Nahm (2010). Price determinants and genre effects in the Korean art market: a partial linear analysis of size effect, J Cult Econ, 34, 281–297. 발견점 헤도닉 모형: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를 밝혀내는 것. 통계학적으로는 회귀분석과 차이가 있으나 활용하는 입장에선 회귀분석과 큰 차이가 없다. 미술품 가격지수: Mei & Moses 지수 헤도닉 가격 회귀로 미술품 가격 결정을 실험 수정된 단위 가격 시스템이라는 가정이 한국 모던, 동시대 회화의 가격을 결정하는지 반 매개변수 부분 선형 회귀분석으로 재실험(semiparametric partial linear regressio..
H.J.Jin, J.C.Kim (2018). Effects of the ‘‘Gangnam Style Syndrome’’ on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 Hyun Joung Jin, Jang-Chul Kim (2018). Effects of the ‘‘Gangnam Style Syndrome’’ on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 J Cult Econ, 42, 139–161. 발견점 강남스타일의 인기는 소속사는 물론 엔터테인먼트, 문화, 디지털콘텐츠 업계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나아가 유튜브 힛은 IT업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재무논문의 전형이라 할 수 있으며, 나는 이런 연구를 못함. 강남스타일이 관련 업계 주식에 영향 / 그 영향이 타 분야, 회사에 영향을 주었는지 오락, 문화, 디지털 콘텐츠에 영향 / IT에 영향 1 Introduction 한 문화적 사건이 주식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IT 분야에서..
J.E. Chung (2019) The neo-developmental cultural industries policy of Korea: rationales and implications of an eclectic policy Jong-Eun Chung (2019) The neo-developmental cultural industries policy of Korea: rationales and implications of an eclectic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25:1, 63-74. DOI: 10.1080/10286632.2018.1557646 발견점 영국의 문화산업 정책은 동아시아에서 유행했는데, 한국 역시 이를 벤치마킹하였지만 사회주의는 거의 수용하지 않았고 카리스마있는 리더가 주도했다. 이런 차이점때문에 신자유주의라기보단 신발전주의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며 '절충적인 신발전주의 문화산업 정책 프레임'으로 한국의 문화산업 정책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S.H. Kim & S.J. Kim (2019) Rethinking culture and development: the culture-led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 South Korea Se-Hun Kim & Sae-June Kim (2019) Rethinking culture and development: the culture-led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25:1, 110-123 DOI: 10.1080/10286632.2018.1557649 발견점 문화를 통해 지역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켜 발전시키고자 하는 프로젝트는 일상에 예술을 스며들게 한다는 것을 목표로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활동가를 인터뷰한 결과 프로젝트가 기대한, 지역주민의 자발적 문제해결은 나타나지 않았고 정부의 지원은 권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담론을 형성했다. 개발의 맥락에서 문화를 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