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mena Varela. (2013), Core Consensus, Strategic Variations: Mapping ArtsManagement Graduat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43, 74–87.
발견점
미국 대학 내 예술경영 커리큘럼에 대한 종합을 시도하고 코어 커리큘럼을 밝혀냄
ARTS MANAGEMENT AS AN ACADEMIC DISCIPLINE
예술경영계의 간단한 역사
여기에 근거해 몬텐츠 분석하고 매핑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연구 질문에 대답
연구질문
1. 현재 대학 예술 경영 수업은 어떠한 형태인가?
2. 이 수업이 어떤 대학(예대, 상대 등)에 속하는가?
3. 이 수업들이 예술, 비즈니스, 정책 등의 카테고리에 속할 수 있는가? 아니면 매핑 결과 수업 내용이 기존 카테고리와는 다른가? 더 구체적으로는 예술 경영 수업에 수반되는 것이 기존 카테고리에 수렵되는 실증적 근거가 있는가?
4. 예술경영 수업이 어떤 다른 예상 밖의 특징을 제시하는가?
THE RISE AND EXPANSION OF ARTS MANAGEMENT EDUCATION: A BRIEF REVIEW
LISTS, SKILLS, RELEVANCE, AND CONT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ARTS MANAGEMENT EDUCATION
예술 경영 교육에 대한 문헌엔 4가지 지류가 있다.
1. 예술 경영 프로그램을 리스팅함
2. 예술경영인으로서 필요한 스킬을 수록
3. 교육 과정에서 예술 경영 조직의 필요에 따라 관련된 내용(커리큘럼)을 배움
4. 학계와 존재론, 인식론적 연결을 추구
METHODOLOGY
샘풀: 44개 수업
방법: 커리큘럼 분석, 인터뷰, 그룹 토의, 이메일 교환
과목 선정의 기준 3가지
과목 명으로 코딩
arts, ARTS;
arts administration/management, AADM; (*미국은 민간이 많아서 민간 비영리 단체쪽일 듯)
business, BUS;
public administration, PAD; (*공공지원쪽일 듯)
communications, COM; (*지역사회일 듯)
nonprofit, NP;
nonclassified, NC
내용으로 코딩
VBPro 활용
요인분석
FINDINGS
표1
지역 분포
표2
예술 경영 과목이 어떤 대학에 속하는지: 예대에 가장 많이 속함
표3
각 대학(예대, 상대 등) 안에서 예술 경영 과목의 위치
예술경영 수업은 예술경영과 행정, 경영 이슈에 따라 예술 쪽에 집중 분포(시각예술, 공연 예술, 예술 경영 등)
수업에서 자주 나오는 주제 15개
art courses (ART; all art history, art theory, and practice combined),
experiential learning (EL; internships, production labs),
marketing (MA),
policy (POL; including advocacy),
arts discipline–specific administration courses (DS),
financial management (FM),
fund development (FD),
strategic planning (SP),
accounting (AC),
overview of arts management courses (OV),
research courses (RS; theses, independent studies),
research methodology (RM),
law (LAW),
human resources (HR),
technology courses (TE)
표4
코어 서브젝트 도출 11개
마케팅, 경험 제공 수업, 개론, 정책이 상위 4가지
이 연구의 목적은 예술 경영 수업에서 다루는 코어 요소 외에도 전체적인 커리큘럼 구조를 도출할 수 있느냐이다.
그림1
예술경영 수업은 증가세
그림2
1 2 3
4 5 6
7 8 9 로 보면
대각선으로 끊어서 4,7,8만 보면 됨(아니면 2,3,6) 대각선으로 대칭임
4: AADM-BUS와 ART의 관계
7: AADM-BUS와 PAD의 관계
8: ART와 PAD의 관계
4,7은 분포가 산발적: 관련성이 낮음
8은 분포가 집중적: 관련성이 높음
따라서 AADM-BUS는 예술, 공공과는 (다소) 무관하게 예술 경영을 다룸
ART, PAD는 비즈니스와는 (다소) 무관하게 예술 경영을 다룸
arts, ARTS;
arts administration/management, AADM; (*미국은 민간이 많아서 민간 비영리 단체쪽일 듯)
business, BUS;
public administration, PAD; (*공공지원쪽일 듯)
결론
예술 경영 커리큘럼 분석 결과
11개의 코어 서브젝트가 도출됨
marketing (MA),
experiential learning (EL),
overview (OV),
policy (POL),
financial management (FM)
accounting (AC),
fund development (FD),
law (LAW),
strategic planning (SP),
research (RS): *이때 연구는 학문적 연구뿐 아니라 실무 기획수준에서의 연구 등 연구적 접근을 하는 모든 활동을 포괄
artistic discipline courses (ART)
그외
human resources (HR),
research methodology (RM),
technology (TE)
질문
11개 코어 커리큘럼은 예술경영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를 말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중 artistic discipline courses (ART)는 예술가 양성인지? 표4를 보면 아트 쪽에서 38.6%가 다루는 주제인데, 구체적으로 잡히질 않는다.
예술을 경영에 적용하는 과정? 예술감독이 사무국장과 조율하는 과정?
11개의 리서치와 15개의 리서치 방법은 무엇이 다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