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onwoo Nahm (2010). Price determinants and genre effects in the Korean art market: a partial linear analysis of size effect, J Cult Econ, 34, 281–297.
발견점
헤도닉 모형: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를 밝혀내는 것. 통계학적으로는 회귀분석과 차이가 있으나 활용하는 입장에선 회귀분석과 큰 차이가 없다.
미술품 가격지수: Mei & Moses 지수
헤도닉 가격 회귀로 미술품 가격 결정을 실험
수정된 단위 가격 시스템이라는 가정이 한국 모던, 동시대 회화의 가격을 결정하는지
반 매개변수 부분 선형 회귀분석으로 재실험(semiparametric partial linear regression)
사이즈와 가격의 관계 발견
수정된 단위 가격 시스템은 한국 모던, 동시대 회화 시장에 적용 가능
1 Introduction
가격차이는 주제, 양식, 크기, 작품 상태 등으로 결정되는데 그 중에서도 작가의 명성과 작품의 품질이 중요
사이즈는 호로 측정
옥션 시장이 열리기 전 갤러리는 호를 기준으로 단위 가격 시스템 구축
40호 이하는 호당으로 가격 책정, 40호 이상은 20-30%가량 할인: 수정된 단위 가격 시스템
이런 할인으로 볼 떄 호당 시스템은 선형적인 것은 아니다.
작품 가격에 대한 선행 연구는 가격 인덱스를 계산하는 것이 많고 헤도닉 가격 모델을 사용해 작품 가격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이 간단한 접근 방식은 모델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
Czujack, C. (1997). Picasso paintings at auction, 1963–1994.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1(3), 229–247.
이 연구는 피카소 그림의 판매를 분석했는데, 상식적인 가설을 세워 접근하여 이 가설이 기각됨을 보여주었다. ㅣ처럼 상식적인 가설이 기각되는 것도 논문으로서의 의의가 있음. 읽어볼 것
이 연구에선 옥션 데이터를 활용한다.
2 Data
옥션 가격과 작품의 특싱이 샘플
서울 옥션 1998-2008 자료, 22,000여 점에서 회화-서양화-모던, 동시대로 추려 2,500여 점, 41명
각 작품의 가격 책정 변수는 3가지(Worthington and Higgs, 2006)
1) 작가에 대한 설명 변수
2) 작품의 물리적 특성
3) 작품의 가격 특성
1) 작가
작가의 이름(명성과 작품성)
팔린 다른 작품을 더미변수로 활용
작가 특성에 포함된 변수로 작가의 생존 여부
더미 변수로 활용
작가의 나이와 판매 시기(작가의 인생에서 어느 정도 시기인지)도 변수로 넣었다.
2) 작품의 물리적 특징
아크릴, 과슈, 수채, 믹스
캔버스, 패브릭, 종이, 우드
크기
3) 작품의 가격적 특성
판매된 옥션: SA, KA
판매 시기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3 Modeling framework
헤도닉 가격 모형에서 변형
4 Empirical results
4.1 Regression analysis
먼저 가격과 사이즈 사이의 비매개적 관계를 확인
Fig. 1 Semiparametric profiles of size-ln(price)
아래 히스토그램은 판매 빈도
표3에서 다른 상태를 사용한 매개와 반매개 회귀 모델 결과를 확인
표3에서 보듯 회화의 대부분의 특징은 모든 부분에서 중요했다.
아크릴, 오일, 믹스미디어 회화가 다른 작품보다 놓았고, 캔버스, 패브릭, 종이, 우드가 다른 지지체?보다 높았다.
*변수2) 작품의 물리적 특성이 가격에 영향을 미침?
작가의 경우 작가의 나이는 정의 영향이 상당했다.
표3에서 (2)에 작품의 판매 특성(변수3)을 넣었다.
옥션의 영향은 중요하지 않았다.
표3 (3)에서 아티스트(41명)의 더미 변수를 넣었다.
천경자, 박수근, 김환기가 다른 작가들보다 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3 (1)에서 (3)에 사이즈 계수의 영향이 나타나있다.
호로 측정한 사이즈 계수는 정의 영향, 제곱항(squared term )으로 측정한 사이즈는 부의 영향
곧 한국 모던, 동시대 회화의 가격은 사이즈에 따라 증가하지만 사이즈가 많이 커지면 줄어들어 U 곡선 형태
가격-사이즈의 관계
Fig. 2 Semiparametric profiles of size-ln(price)
1: 기본 회귀 모델의 반 매개적 프로파일
2: 회귀모델에 변수3(가격특성)이 포함
작은 사이즈에선 불규칙한 변화가 보임, 120호에서 가격 하락
3: 변수1(작가특성) 포함
작은 사이즈에서 보이던 불규칙한 특성 사라짐, 전체 그래프 모양이 부드럽게 완화된(*가격 변동 완화)
곧, 프로파일의 불규칙하고 거친 특성은 작가 영향 때문이다.
사이즈가 작을 때 회화의 가격은 사이즈에 비례했(*지만 선형적이진 않았다. 사이즈가 작을 땐 비례, 커지면 비례 관계 약화)
4: 가격-사이즈의 프로파일(비로그)
프로파일(1)(2)는 차이가 적지만, 차이가 있긴 하다.
작가 영향을 통제하기 전엔 수정 단위 가격 시스템의 모양과 꽤 달랐다.
프로파일(3)은 그래프가 부드럽고 가격이 사이즈에 대해 변화가 적었다.
회화의 가격은 호로 측정된 사이즈와 정의 영향이었지만 그 비율은 점차 줄었다.
(3)의 전체적인 인상은 수정 단위 가격 시스템이 한국 모던, 동시대 회화에선 작용한다는 것이다.
4.2 Size effects
작품 가격에 사이즈가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
1호 증가하면 가격은 얼마나 증가하나?
결과적으로 작품 사이즈가 1호 증가하면 작품 가격은 5% 증가
영향이 클 땐 8.3%까지도 증가
30-50호 사이에선 1.1% 하락
60-100호 사이, 100호 이상에선 0.7, 0.2% 하락
*즉, 사이즈가 영향이 있지만 선형적이지 않다.
5 Concluding remarks
회화의 가격 결정요인
호당 가격제라는 수정 단위 가격제가 실제로 작동하는지 확인
한국 미술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작가별로 그림의 크기에 따라 가격이 책정된다. 작가에 대한 1호 당 가격은 선험적으로 결정된다. 수정 단위 가격제에서 같은 작가의 그림 가격은 대략 단가에 호로 측정한 크기를 곱한 값으로 설정된다.
반모수적 접근방식으로 가격-사이즈의 관계 확인
작품과 판매 연도 특성이 중요하며 사망한 작가는 20배가 넘는 가격
아크릴, 오일, 믹스미디어는 가격이 비싸고 캔버스, 천, 종이, 나무 등의 작품은 다른 모든 지지체보다 가격이 비싸다.
더미 변수를 포함하면 모델이 크게 향상되며 이는 작가의 명성과 품질이 그림의 가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함을 보여준다.
모수 회귀 추정은 가격-사이즈 프로파일의 거꾸로 된 U 모양을 특징으로하는 것처럼 미술 가격이 먼저 크기에 따라 증가한 다음 그림이 너무 커지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반모수적 결과는 수정 단위 가격 체계가 한국 현대 및 현대 회화 시장에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의 크기가 커질수록 가격 상승은 감소하고 오목한 기능적 형태를 따른다.
가격에 미치는 전체적인 크기 효과는 5.0 %로, 작품의 크기가 25 호 이하일 때 최대에 도달하고 크기가 커질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느낀점
호당 가격제가 적용됨을 학문적으로 밝혀낸 것이 의의가 있고 흥미로웠다.
질문
캔버스, 천, 종이, 나무가 가격이 높다고 나왔는데 무엇에 비해서 가격이 높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