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Paul J. DiMaggio, Walter W. Powell. (1983),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2), 147-160.
발견점
조직과 조직이 위치한 필드의 환경에 따라 아이소모피즘(동형화)이 일어난다. 그 조건을 정리
조직에 따라 동형화의 정도가 다르며 저항할 수도 있으며 그 요인은 외부 요인의 특성이나 맥락에 따라 다르다.
관료화와 합리화의 원인은 달라지고 있다.
2. ORGANIZATIONAL THEORY AND ORGANIZATIONAL DIVERSITY
조직의 형태와 활동이 놀랍도록 유사한 경우가 많다.
초기에 필드의 다양성의 시기부터 시간이 지나면 한 두개의 모델만 남는다.
필드의 형성과 구조는 여러 조직이 활동한 결과이다.
이런 조직의 구성 - 주요 공급자, 자원, 소비자, 규제 기관, 유사한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하는 다른 조직
동화 과정의 개념은 아이소모피즘으로 정리할 수 있다.
아이소모피즘의 두 유형 - 경쟁형과 제도형
Three Mechanisms of Institutional Isomorphic Change
제도적 아이소모피즘의 3가지 매커니즘
(1) 강압적 아이소모피즘(coercive isomorphism) - 정치적 영향과 법적인 문제에서 비롯
(2) 모방적 아이소모피즘(mimetic isomorphism) - 불확실성에 대한 반응
(3) 규제적 아이소모피즘(normative isomorphism) - 전문화와 관련
Coercive isomorphism:
법제도는 조직의 활동과 구조에 많은 영향을 주고 조직은 정부나 기타 국가 조직의 영향을 받는다.
계약, 회계 감사 등
Pfeffer and Salancik (1978:188-224는 정치적으로 구축된 환경을 두 가지 특징이 있다고 보았다.
1) 정치적 결정권자는 자신들의 결정의 결과를 직접 겪지 않는다.
2) 이런 결정은 의사회를 넘어 조직 전체에 작용하여 유연하지 못하다.
표준적 작동 절차와 정당한 룰, 구조를 (*강제적으로) 직접 부여받는 것은 정부의 권한 밖에서도 일어난다.
종합회사가 규모와 반경을 키워갈수록 표준적 성과 기준이 자회사엔 부과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회사에겐 표준화된 보고 매커니즘이 주제가 된다.
자회사는 회계 과정, 성과 평가, 예산 계획을 모회사의 지침과 일치하게 해야한다.
종종 단일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하부구조의 다양성은 이를 활용하는 조직에 압력을 가한다. `
그래서 중앙 정부의 확장, 수도의 중앙화, 자선활동의 합동, 이 모두는 직접적인 권위 관계를 통해 조직의 모델을 동형화시킨다.
coercive는 아주 미묘하게 작동한다.
Mimetic processes: a response to uncertain
상당수의 조직 구조의 동질화는 많은 필드가 다양성을 추구하지만 거기서 선택되어 살아남은 조직은 몇 안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조직은 필드 안에서 더 합리적이고 성공적인 것 같은 조직을 보면 이를 모델로 삼으려 한다.
Normative pressure: 규제적 압력
전문화의 2가지 측면이 아이소모피즘의 중요한 원인이다.
하나는 대학 전문가가 만든 공식적인 교육 외에 나머지 교육이다.
또 하나는 전문가 네트워크의 성장과 정교화로 조직을 확장하고 새로운 모델을 빠르게 퍼뜨리는 것이다.
이런 중심 조직은 혁신적이고 거대한 모델 둘 다의 기능을 하고 이런 조직의 정책과 구조는 조직이 속한 필드 전체에 퍼진다.
제도적 아이소모피즘의 과정은 조직 내부의 효율성이 증대되었다는 근거로 작동할 수 있다.
조직의 필드는 많은 전문가들의 활동 결과이고 자리 경쟁이 일어나는 곳이다.
*전문화로 인해 전문가/비전문가가 나뉘고 필드는 전문가들의 경쟁의 장이라 아이소모피즘이 일어난다.
3. PREDICTORS OF ISOMORPHIC CHANGE
아이소모피즘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필드의 어떤 조직이 구조, 프로세스 및 행동에서 가장 아이소모피즘 모델로 작동할지를 경험적으로 예측할 수 있어야한다.
A. Organizational-level predictors.
coercive에서 도출된 가설
Hypothesis A-1: 한 조직이 다른 조직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록 구조, 기조, 활동의 중심이 서로 유사하다.
Hypothesis A-2: 조직의 자원 공급이 더 집중화되었을수록, 그 자원을 공급하는 조직과 유사해진다.
Hypothesis A-3: 일의 시작과 결말이 불확실할수록 성공했다고 여겨지는 조직을 모델로 삼는다.
Hypothesis A-4: 조직의 목표가 모호할수록 성공했다고 여겨지는 조직을 모델로 삼는다.
Hypothesis A-5: 경영자와 스텝을 뽑는데 있어 아카데믹한 자격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다른 조직이 해온 방식으로 한다.
Hypothesis A-6: 업계와 전문가 관여에 있어 조직 관리자의 참여가 클수록 조직은 같은 필드 내 다른 조직과 유사해진다.
*조직 단계에서 의존도, 불확실성, 보수성이 클수록 아이소모피즘이 일어난다.
B. Field-level predictors.
Hypothesis B-1: 조직이 속한 필드가 자원 공급처가 적을수록 필드 내 조직 간의 유사도가 더 크다.
Hypothesis B-2: 국가기관과 더 많이 거래하는 필드일수록 필드 내 조직 간의 유사도가 더 크다.
Hypothesis B-3: 필드 내 조직의 대안적 모델이 적을수록 유사해지는 속도가 빨라진다.
Hypothesis B-4: 기술이 불확실하거나 목표가 모호한 필드일수록 필드 내 조직 간의 유사도가 더 크다.
Hypothesis B-5: 필드의 전문화 정도가 클수록 필드내에서 제도적으로 유사해지는 정도가 크다.
Hypothesis B-6: 필드가 구조화된 필드일수록 필드 내 조직 간의 유사도가 더 크다.
*필드의 움직임이 제한적일수록(자원 공급이 유한, 국가기관과 거래, 대안이 적음, 전문화) 아이소모피즘이 일어난다.
4. IMPLICATIONS FOR SOCIAL THEORY
기능주의자나 마르크스주의자와 같은 거시 사회 이론 연구에서의 조직을 이론적, 경험적 연구와 비교하면 역설적 결론이 나온다.
조직 연구의 발견에도 불구하고, 밀접하고 합리적으로 결합된 제도로 구성된 사회의 이미지는 현대 사회 이론의 많은 부분에서 받아들여진다.
이런 거시 사회 이론으로 이 문제를 결론내긴 어렵다.
전통적 관점에선 이런 모순이 자연 선택 메커니즘으로 선택된 조직들이라고 한다.
또 다른 설명은 이런 모순(*동형화)이 사회주의처럼 엘리트의 통제라고 한다.
*둘 다 아님
제도적 아이소모피즘에 중점을 두면 조직의 권력과 생존에 대한 정치적 투쟁의 관점을 더 필요로 할 수 있다.
조직적 아이소모피즘 이론으로 보면 국가가 개별 조직을 통해 일하는 필드에서의 사회적 정책이 중요할 것이다.
느낀점
필드 내에 조직들이 유사해지는 조건을 세세하게 살펴본 것이 흥미로웠다.
자연 선택이라는 의견이 일단은 합리적인데 여기서 모델? 조건이 도출한 점도 흥미로웠다.
질문
이 연구가 가설을 증명한 것은 문헌연구라는 방법론인가?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이 다소 분량이 짧아서 합리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