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Pawan V. Bhansing, Mark A.A.M. Leenders, Nachoem M. Wijnberg. (2017), Scheduled Audience Capacity for Performing Arts Productions: The Role of Product Innovativeness and Organizational Legitimacy,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20(1), 63-77.
발견점
이 연구는 보조금을 받는 공연 회사의 중간 과정에 있는 작품이 수익 프로그램으로 성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혁신성은 상황에 따라 정 혹은 부의 영향을 주었고 적법성은 어떤 효과가 우세할지를 결정했다. Our findings show that 조직의 명성은 영향이 거의 없었다.
2. Theory
Product Innovativeness
경쟁적인 문화산업에서 상품의 혁신성을 어디까지 확장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중요하며, 특히 전문가가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문화 산업에서 더욱 그러하다.
예술에서 혁신의 이상한 점은 산업에서 비롯한 과학이나 기술에서의 혁신과 다르다.
흥미롭게도 기존 연구는 어떤 작업이 원칙적이고 어떤 작품이 혁신적인지를 측정하려 하지 않았다.
*여기서 디마지오와 스텐버그 언급
클레인슈미츠와 쿠퍼(1991)에 따라 우리는 새 상품을 완전히 새로운 것과 기존의 것의 새로운 버전으로 생산된 새로운 것으로 구분한다.
Critics and Organizational Legitimacy
문화산업에서 미디어비평은 상품의 가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비평으로 인해) 작품에 대한 담론은 작품이 가치있다거나 특정 영역의 주목을 끌고 바다들여질 수 있음을 보여주게 된다.
비평이 조직의 합법성을 부여한다는 주장은 시장 내 특정 개인이 조직의 합법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연구와 일치한다.
조직의 적법성은 조직의 명성과 밀접하며 특히 적법성과 명성이 미디어의 주목에서 나왔을 경우 더욱 그러하다.
미디어에서의 명성은 전문가가 만들어낼 수 있다.
적법성은 명성보다 더 안정적인 타입의 사회적 평가이며 과거와 현재 조직의 퍼포먼스의 영향을 덜 받는다.
Programming and Scheduling Decisions by Venue Programmers
보조금을 받는 공연예술에서 제작 회사는 종종 독립적인 수익으로 운영된다. 아주 적은 회사이긴 하나 몇몇 회사는 고정 수입이나 제휴를 맺은 수익이 있으며 이런 회사는 공연 횟수를 논의할 때 수익 프로그램(*구조)을 고려해야 한다.
이들의 프로그래밍과 스케줄 결정은 공연예술제작사의 중간 단계(*과정? 공연?)에서의 성공을 결정하기 때문에, 수익 담당자는 의사결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보조금을 받는 공연예술회사에게 공연제작에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단계는 수익을 중간 단계에서 성공할 것을 목표로 하는 수익 프로그램이다. 다시 말해, 충분히 논의된 제작 여건을 얻는 것이다.
3. Data and Method
Research Setting
네덜란드 극단과 무용 회사 551개
Sampling
Variables
종속변수
스케줄 소화 능력, 수용력(Scheduled capacity)은 작품 기간동안 확보한 좌석의 수로 측정했다. 어느 정도 규모의 극장을 잡았는가.
표1. PERFORMANCES OF AN AVERAGE PRODUCTION
표1은 스케줄 소화 능력, 수용력 변수를 알려주고 변수의 특징을 보여준다.
독립변수
조직의 적법성, 정당성(organizational legitimacy) 변수는 전문가 리뷰의 수로 계산되었다. 이는 2005-6년에서 2007-8년의 리뷰였고, 회사의 총 제작 수로 나누었다.
생산 혁신성 변수(product innovativeness)는 특이하게 계산했는데, 네덜란드 극장 협회로 부터 데이터를 얻어 2008-9년에 새롭게 공연된 작품이 네덜란드에서 1900년 이후 몇 번 공연되었는지를 확인했다. 어떤 작품을 공연했느냐.
표2. EXCERPT FROM INNOVATIVENESS DATA
표2를 통해 저혁신 작품과 고혁신 작품을 5가지씩 배당했다.
통제변수로는 조직의 명성, 조직의 근속연수, 조직의 규모, 조직의 참여 정도, 조직의 유형, 고정 수익 등이 있다.
조직의 명성 통제변수는 전문가 리뷰의 수를 세었다.
조직의 지속연수는 설립일자
조직의 규모는 풀타임 근무자의 수
참여율은 좌석 점유율
조직 유형은 극단과 무용
고정수익은 자체 숭익이나 제휴를 통한 수익
4. Results
표3. CORRELATION MATRIX
*스케줄 소화 능력: 정(적법서, 규모, 고정수익) 부(혁신성)
*혁신성: 정(없음) 부(적법성, 규모, 고정수익)
*적법성: 정(규모, 연수, 고정수입) 부(조직 유형)
다중 회귀분석
표4. EFFECTS OF INNOVATIVENESS, LEGITIMACY AND REPUTATION ON SCHEDULED CAPACITY
모델1은 상품 혁신성과 스케줄 소화 능력의 상당한 부의 효과를 보여준다.(β = -0.248, p < 0.05)
*모델1: 스케줄 소화 능력과 혁신성은 부 / 적법성은 정
*조절변수(2way, 3way)는 적법성과 혁신성이 함께 추구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조직의 명성과 상품 혁신성 사이의 관계는 스케줄 소화 능력과 큰 관련이 없었다.
그림1. INTERACTION BETWEEN LEGITIMACY AND INNOVATIVENESS
*혁신성이 낮을 때 고 적법성은 스케줄 소화 능력이 낮고 / 저 적볍성은 소화 능력이 높다.
*혁신성이 높을 때 고 적법성은 스케줄 소화 능력이 증가 / 저 적법성은 소화 능력이 감소
Robustness
5. Discussion and Conclusion
이 연구는 보조금을 받는 공연 회사의 중간 과정에 있는 작품이 수익 프로그램으로 성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혁신성은 상황에 따라 정 혹은 부의 영향을 주었고 적법성은 어떤 효과가 우세할지를 결정했다. Our findings show that 조직의 명성은 영향이 거의 없었다.
느낀점
수익을 얻는데 있어 혁신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이 흥미로웠다.
보통 수익을 결과로 판단하는데 중간 단계에서의 수익성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로서 중요하다.
질문
모델 3 3개의 독립변수를 함께 두는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3way 조절변수는 2개의 조절변수가 정일 때 의미가 있으나 이 논문에선 2개 조절 변수가 부이므로 3way는 의미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