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s management/arts management(02)

K. McElhaney. (2009), A Strategic Approach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Kellie McElhaney. (2009), A Strategic Approach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Leader to Leader, 52(1), 30–36.

 

F. Azmat,  R. Rentschler. (2017). Gender and Ethnic Diversity on Boards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연구 321쪽에서 이사회가 나눔의 가치로 사회에 기여하고 지속가능성을 더하는 전략에 주목하게 되었다는 맥락으로 인용됨. 곧 CR이 기업의 호혜적 활동이 아니라 비즈니스 전략이 될 수 있다는 맥락에서 인용됨.

 


 

발견점

CSR은 자선적인 베품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에서 통합적인 비즈니스 전략으로 바뀌어 기업들은 비즈니스 목적과 기업의 주요한 경쟁력을 경제적 결과만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구축해가고 있다.

 

 

2. What CSR Is—and Isn’t

CSR을 규정하는 것은 CSR의 다양한 쓰임새때문에 쉽지 않다.

연구자는 기업들이 자신만의 CSR을 규정하는데 불필요하게 노력하지 말 것을 주장한다.

 

3. The Value of CSR

CSR의 경제적 유익은 인적 자원이나 비용절감, 기업 평판이나 브랜딩에서 나타난다.

최근 기업의 리더들이 CSR을 새로운 수익의 지류로 여긴다는 연구가 있었다. 

 

4. Creating a CSR Strategy

전 구성원이 같은 목표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

처음의 기업의 CSR은 말단 직원에서 출발하지만, 이사회 등 고위 리더들은 CSR에 대한 진정성, 결심, 공공적 약속을 해야 한다.

탑3 비즈니스 목표와 우선순위를 정하고 CSR 전략을 발전시켜 비즈니스 목표에 맞추어야 한다.

CSR을 문화, 회사의 거버넌스와 전략의 발전, 경영과 성과 시스템으로 녹여내야 한다.

CSR은 위험을 이동시키고 기회를 찾는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리더들은 기업의 '스윗 스팟'을 찾아야 한다.

CSR 전략의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 매트릭스를 만들어야 한다.

 

5. Branding and Communicating Your CSR

기업들에겐 CSR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기업의 CSR 콘텐츠를 브랜딩하는 것은 혁신적이고 가치있는 비즈니스 전략일 수 있으며 이는 직원, 비즈니스 파트너, 투자자, 소비자 등에게 낳을 수 있는 채널일 수 있다.

오늘날의 소비자는 일방적 계약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원하기 때문에 CSR은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6. Moving Forward

소비자들은 점점 이런 사회적 변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소비자와 공명하는 CSR과 브랜딩 캠페인은 소비자의 관심을 반영하고 교육을 제공하며 대화와 행동을 야기한다.

평판이 좋은 캠페인은 기업의 진실한 약속과 CSR을 통한 실제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능력으로 가능해진다.

파트너십은 이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파트너십을 통해 신뢰를 쌓고 전지구적 이슈에 대응할 수 있다.

CSR은 사라질 것이 아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이런 흐름을 요구하고 추동해가고 있다.

경쟁 기업 역시 CSR 전략을 발전시키고 있다. CSR은 장기적 기획으로 한 번 뒤처지면 따라잡기가 어렵다.

 

장차 CSR은 하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스마트하고 전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CSR을 어떻게 기업의 일상적 비즈니스 전략에 녹여낼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