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Paola Dubini, Alberto Monti. (2018), Board Composi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Cultural Sector: The Case of Italian Opera House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20(2), 56-71.
발견점
이탈리아 오페라 하우스의 지속가능성을 이사회 구성과 활동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분석
이사회의 유형에 따라 수익 창출 활동에 차이가 있었다. 수익 창출은 조직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관련이 있다.
2. Board Composition and Performance in Hybrid Organizations
이사회의 구성과 활동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두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에이전시 이론, RDT)
이사회를 에이전시적 역할로 분석: 주도적으로 사업을 진행
이사회를 RDT(자원 의존 이론)로 분석: 환경의 변화에 대응
실증 연구, 문헌 연구 모두 이사회의 활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비영리 조직의 경우 이사회의 구성과 활동 간의 관계는 영리 조직과 연관된 논쟁을 반영한다.
영리 조직과 비교해 비영리 조직에서 이사회의 규모와 구성은 경제적, 비경제적 활동에 영향을 준다.
이런 문헌 리뷰로 볼 때 이사회의 구성과 활동 사이에는 관련이 있다.
3. Governance in Italian Opera Houses
오페라 하우스는 예술과 경영이라는 두 거대한 프로세스, 그리고 예술가, 기술자, 경영자라는 세 가지 분야의 고용을 한다.
법적, 행정적 측면에서 이탈리아의 오페라 하우스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Lyric Symphonic Foundations(LSFs): 큰 규모의 극장, 정부 운영, 상시 고용, 14개
Teatri di Tradizione: 극장 소유, 오케스트라 등은 일시적으로 고용
독립 오페라 감독과 지역 극장:
표1. EVOLUTION OF LEGISLATION ON THE GOVERNANCE OF ITALIAN OPERA HOUSES
4. Methodology
2001-12년 사이에 활동한 LSF의 이사회를 연구
패널 데이터 활용
Dependent Variable
revenue diversification: 세입 다원화 지수
Independent Variables
이사회의 자본은 이사회 구성원 개인의 경험, 교육, 배경, 조직과의 관계이다.
이사회의 구성원을 인구학적으로 분류하고, 역할로도 분류해 예술가, 통제자, 문화경영자, 유명인, 기타 전문가로 나누었다.
표2. COMPOSITION OF LSF BOARDS
- 예술가 형: 예술적 역량 보유, 퍼포머, 작곡가, 예술 감독 경력, 필요시 다른 이사회 구성원과 대립
- 통제자 형: 기업 경영적 관점의 에이전시 역할, 정부를 대표, 경영 관리와 공공자원 사용을 모니터링 함.
- 문화경영자 형: 예술 조직의 의사결정 문제 해결 등 경영 전문가,
- 유명인 형: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들의 명성이 조직에 필요, 특히 기금에 용이하게 활용됨.
- 기타 전문가 형: 다른 분야 전문가(이 논문에선 퍼포밍 아트외 다른 전문가), 주로 경제, 법, 금융, 기술 전문가, 외부적 관점 제공
5. Findings
표3A. PAIRWISE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TOTAL REVENUES
이사회 멤버 구성의 차이(5개 유형)와 종속변수인 총 수익의 관계는 예상한대로였다.(통제자는 부의 영향, 문화경영자와 유명인은 정의 영향)
표3B. SUMMARY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MATRIX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이사회 구성원 중 예술가 쪽은 모든 수익에서 -를 보였는데, 이는 문헌 연구와 일치
*통제자 유형의 이사회는 총 수익과 공적 수익, 사적 수익 모두에서 부의 영향을 보임.
*문화경영자 유형의 이사회는 모든 수익에서 정의 영향
*유명인은 모든 수익에서 정의 영향
*이사회의 규모는 총 수익과 입장권 수익, 사적 수익에서 정의 영향
*GDP는 총 수익과 입장권 수익, 사적 수익에서 정의 영향(*GDP가 증가하면 살기 좋아지는 것이니까 입장권도 사고 사적 기부도 하고 그럴 듯)
표4. IMPACT OF DIFFERENT PROFILES ON DIFFERENT SOURCES OF REVENUE
모델1: 통제자와 유명인 유형의 이사회가 총 수익에 정의 영향
모델2: 통제자, 유명인 유형의 이사회와 GDP가 입장권 수익에 정의 영향, 다만 GDP는 p값이 커서 독립변수만큼 유의미하진 않음.
모델3: 공적 기금을 끌어오는 능력에 대한 부분이나 어떤 유형도 여기에 영향을 주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다만 통제변수인 GDP에는 영향을 받음.
모델4: 예술가 유형 이사회가 기금에 부정적인 영향일 것이라는 가설, 예술가 유형의 이사회는 사적 기금 모금에 부의 영향, GDP와 이사회 교체는 정의 영향
표5. SUMMARY OF TYPOLOGY, HYPOTHESES AND RESULTS
6. Discussion and Implications
느낀점
이사회 활동의 성과를 지속가능성과 연결해 수익으로 살펴본 점이 흥미로웠다. 성과, 지속가능성 등 다소 추상적인 개념을 수량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수익, 그리고 수익의 출처를 통해 연구한 점이 설득력이 있었다.
질문
이사회의 유형을 나눈 기준이 구성원의 비중인가? 그렇다면 구성원의 비중이 편파적이지 않을 땐 어떻게 분류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