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s management/arts management(02)

F. Azmat, R. Rentschler. (2017), Gender and Ethnic Diversity on Boards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Fara Azmat,  Ruth Rentschler. (2017), Gender and Ethnic Diversity on Boards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The Case of the Arts Sector, Journal of Business Ethics, 141(2), 317-336.

 

 


 

발견점

예술 조직 이사회에서 성별과 인종적 다양성이 기업의 (공공적) 책임에 대해 반응하게 했다. 하지만 기업의 (공공적) 책임을 하려는 다양한 이사회에겐 성별과 인종적 다양성에 관계없이 열정, 기술 및 능력, 네트워크 개발이라는 이사회 구성원의 특성이 필요했다.

 

 

1. Introduction

 

How do men and women on arts boards respond to CR requirements?
How are gender and ethnic aspects of demographic diversity on arts boards linked to CR?

 

 

2. Diversity in the Australian Context

 

호주는 200여개국이 모여 사는 다양성의 국가

개인의 다양성은 한 개인의 인구학적, 사회적 특성을 담아낸다.

그럼에도 여성과 다민족이 이사회에 참여하는 일은 부족했다.

 

 

3. Corporate Responsibility and the Non-Profit Sector

 

조직은 모두 다르고 기업의 책임을 다하는 부분에서도 각각 다르게 접근한다.

비영리 조직의 주요 목적은 공공성이지만 이해관계자들은 다양하다.

비영리 조직의 정부기금은 줄고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공공적) 책임은 개인 기업(*영리기업?)에게만 있었다.

 

 

4. NP Sector in Australia

 

호주에 비영리 조직은 600,000여 개

영리 기업, 공공과 비영리 조직은 성격, 기능, 운영 프레임이 다르다.

Table 1 Sector-specific characteristics of Australian NP organisations

표1. 비영리 조직이 차별화된 특징

  • 비영리 조직은 오너가 없음.
  • 비영리 조직은 잉여금을 제공하지 않음.
  • 비영리 조직은 세금 부담이 적음.
  • 운영에 있어 경제, 환경, 사회적 목적이 있어야 하고 요구과 기대도 다양함.
  • 이사회는 조직을 감독할 책임이 있음.
  • 이사회의 임기는 정해져 있고 정부 및 기타 이해 관계자에 대응하여 성과에 책임있는 서비스를 제공함.
  • 성공의 측정은 미션과 경제적, 비경제적인 면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Sector-Specific Characteristics of NP Arts Boards in Australia

 

비영리 조직에서 이사회는 변화에 대한 정치적 의지에 영향을 받았고 내부적으론 다양성의 문화를 지향한다.

Table 2 Sector-specific characteristics, challenges and CR issues of arts industry

예술 산업에서 부문별 특징과 도전, 그리고 기업의 (공공적) 책임에 대한 이슈

기업의 (공공적) 책임에 대한 이슈:

  • 미션 달성: 커뮤니티에 수용, 커뮤니티에 서비스, 양질의 제품, 기금 관리
  • 가치 중심적 전략
  • 경제적, 사회적 이익의 창출
  • 활력 중심: 다양성의 존중과 커뮤니티를 대표하기
  • 실현가능성 중심: 파트너십을 통한 콜라보레이션으로 지혜를 나누고 기금 마련을 위한 가치를 나눔, 지속가능성

경제적 위기 땐 펀딩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술 조직의 기업의 (공공적) 책임은 다문화 사회에서 비영리 조직의 하나로서 조직이 커뮤니티에 공헌하고 사회 여러 곳에 있는 사람들을 담아내는 것을 요구받는다.

기업의 (공공적) 책임의 공통 분모는 조직의 미션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것을 포함한다. 양질의 품질 보장, 사회적 수용, 기금 관리

 

 

5. Method

 

Sample

인터뷰 92명 66개 예술단체 호주

이사회 구성원과 이해관계자로 나누어 남여, 주류 비주류 민족으로 표현

웹서치로 이사회 구성을 공개한 예술 조직을 찾아 비교해보았고 비슷한 수와 비중을 보이는 조직과 결과를 비교

 

Interviews

 

 

6. Analysis

 

인터뷰이에게 검토 받고 다른 자료와도 비교해 신뢰성을 높였다.

 

Demographic Profile

여성이 남성보다 어리지만 교육 수준은 비슷

표 3에 인구학적 분석 정리

Table 3 Summary of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board members and stakeholders (N = 92)

 

 

7. Findings

 

RQ 1: How do Men and Women on Arts Boards Respond to CR Requirements?

연구질문1: 예술 조직 이사회의 남성과 여성은 기업의 (공공적) 책임에 대한 요구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예술 조직에서 성별과 인종적 다양성은 CR의 모든 공통 분모(양질의 품질 보장, 사회적 수용, 기금 관리)에 더 집중함으로써 이사회가 더 잘 반응하도록 도왔다.

*이하 이사회의 다양성이 공공적 책임에 도움을 준 부분

 

Mission Driven

비영리 예술 조직은 커뮤니티를 나타내고 여기에 기여할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 때 조직은 양질의 경험에 중점을 두고 사회의 여러 커뮤니티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사회에 미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그 조직은 무너진다.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일을 해야한다는 압력은 때로 미션에 대한 긴장으로 이어지고 자금 감소로 인해 이해 관계자와 폭 넓은 협의 및 참여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래서 미션이라는 동기는 강력한 동기이다 비영리 조직은 조직 아래층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지만 기금은 다양한 곳에서 마련해야하기 때문이다.

 

Strategic Balance

더 많은 일을해야한다는 압박과 자금의 감소로 불확실한 시기에 예술 조직의 이사회는 전략적으로 CR에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사회 구성원은 자신의 다양성을 활용해 조직의 신뢰성과 합법성에 대한 평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사실은 전략적 균형의 초점은 이사회가 가깝게 지낼 필요가 있다고 여기는 이해관계자에 의해 좌우되었고, 이는 이사회 구성원이 고위층이든 지역 사회 친화적이든 차이가 없었다.

게다가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은 혁신과 전진을 위한 수단인데 이는 기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한 예술 조직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다.

 

Vitality

이사회의 활력은 조직과 관객, 조직과 이해관계자의 접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보여준다.

또 다른 테마는 예술 조직 이사회에서 다양성의 중요함에 대한 이해로 이는 풍부한 스킬과 관점을 제공하고 조직이 기여하는 커뮤니티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이사회에서 어린 아이가 있는 젊은 (*여성) 구성원은 이사회 조직이 자신들을 엄마이자 이사회 구성원으로 보일 수 있게 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아이가 있는 여성의 경우 그들의 성별로 차별을 받진 않았다. 이사회가 여성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이었다.

전반적으로 성평등은 예술 조직 이사회의 표준적인 특징이 되었고, 인종적 다양성과 더해서 이는 지난 10여년 간 걸어왔고 앞으로도 나아갈 길이었다.

그러나 여전히 50% 정도가 다양성 측면의 장벽은 이사회에 남아있다고 보았다.

 

Viability

이사회의 생활력은 조직의 지속을 위해 필수적인 모든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고 동시에 더 폭넓은 이해관계자 그룹에 반응하도록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사회의 성별과 인종적 다양성은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높이고 잠재적 기금을 지키며 조직의 지속성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만들어낼 수 있는 소중한 것이다.

 

RQ 2: How are Gender and Ethnic Aspects of Demographic Diversity on Arts Boards Linked to CR?

연구질문2: 예술 조직 이사회에서 성별과 인종적 다양성은 어떻게 기업의 (공공적) 책임과 연결되는가?

 

이사회의 책임감을 위해 이사회 구성원의 갖춰야 할 특성은 세 가지이다.

 

Passion

열정은 예술 조직 이사회에서 구성원을 독려하고 도전에 맞서는데 필수적이다.

열정은 예술 조직 이사회의 남녀 모두의 원동력이자 억제자였으며, 다양성을 촉진하고 이사회의 사회적 책임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

 

Skills/Credentials(스킬/자격)

미적인 품질을 고려하고 기금 확보에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복잡성을 이해하고 더 혁신적이고 창의적 일 수있는 숙련되고 전문 지식을 갖춘 다양한 구성원을 고용할 필요에서 비롯했다.

스킬을 중시하는 것은 예술 조직이 다양한 인종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이사회에 앉히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였다.

 

Capability to Develop Networks

네트워크는 최고의 효과를 내기 위해 현장 커뮤니티 내부와 외부 모두에 구축될 필요가 있고, 그러면 네트워크는 권위있는 이사회라는 명성을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9. Discussion and Conclusion

 


 

느낀점

예술 조직은 발생 단계부터 공공적 책임을 염두에 두는 비영리 조직이라 생각하는데, 이를 영리 기업에 주로 해당되는 기업의 (공공적) 책임이라는 틀로 살펴본 점이 흥미로웠다. 두 조직 형태가 같은 책임을 요구받고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질문

하지만 예술 조직이 발생 단계부터 공공적 책임을 염두에 둘 것이란 점에서 이를 굳이 질적연구를 통해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까? 오히려 양적 연구를 통해 이사회가 성별과 인종적 다양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게 효과적인 방식이지 않았을까?

후속질문이 필요할 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할 때 인터뷰가 필요함. 그런 맥락에서 한 것 같음. 여기서는 n=92로 그 수가 적기때문에 양적 분석을 하지 않음. 기준은 n=150개 정도, 전수조사를 할 경우엔 n이 100보다 적어도 양적분석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