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s management/arts management(02)

D.H.Hsu. (2008),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

*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D.H. Hsu. (2008),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 Hand-book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ShaneS (ed). John Wiley & Sons: Chichester, U.K.; 367–388.

 


 

기술기반 창업은 기술과 경영 두 영역에 걸쳐있는데, 이에 대한 다양한 아카데믹 리뷰를 볼 것이다.

 

 

2. New Venture Origins

 

새로운 사업의 기회는 짧고 기회의 창은 여닫기를 반복한다.

사업을 시작하면 기술기반 기업에겐 두 가지가 중요한데 바로 상업적 지식과 기술적 지식이다.

 

Commercial knowledge

기존의 탄탄한 회사에서 파생된 새로운 벤처는 중요하다.

기술 기반의 창업 기회는 활발한 연구, 문제해결능력, 기존 지식, 뜻밖의 발견 등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기존 회사에서 나오므로 상업적 감각을 가지고 있다?

 

Technical knowledge

앙트러프러너적 기원과 관련된 기술 지식의 3가지 차원: 현지 기술 연구, 지식의 유출, 지적 자원

혁신이 경쟁의 기초로서 중요한 환경에서 회사와 매니저들은 장기적으로 현지를 탐색하는 효과에 관심을 갖는다.

기술 지식에 관한 연구 영역에서는 기술 지식의 타당성이 불완전하기 때문에(아직 보상이 돌아오지 않은 상태) 경제 에이전트가 기술을 유출할 가능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유출 문제로 인해 벤처의 지리적 위치도 중요하다

지적 자원은 벤처 창업에 중요한 자원

 

 

3. Resource Assembly

아이디어 확인 후 인적, 물적 자원을 지켜야한다.

왜 앙트러프러너가 자원을 모아놓은 것과 다른지에 대한 기초를 다질 필요가 있다.

인적 자원, 사회적 자본의 단계와 기술적 품질의 단계(*에서 자원을 모아두는 차원 이상의 작용이 있다?)

인적 자원: 혁신 회사의 장기 경쟁력으로 중요

금융 자원: 벤처 발전에 필수 자원

 

 

4. Strategizing

스타트업의 이슈는 어떻게 혁신적 노력이 수익으로 돌아오는지, 언제 현재의 산업이 훨씬 더 많은 자원을 얻을지, 그리고 후발 스타트업과의 경쟁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이다. 

이를 위한 전략

◆ entering into a niche; 틈새시장 공략
◆ exploiting relative organizational flexibility; 조직의 유연성 활용
◆ differentiating product or service offerings;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차별화
◆ cooperating with industry incumbents; 현재 산업과의 협력

 

스타트업의 상업화 전략 3가지

◆ the role of formal intellectual property (patents) in negotiating with established firms; 설립된 회사와 협상하여 지적 자원(특허 등)의 역할을 하는 것
◆ the role of venture capitalists as information brokers, lowering transaction costs of cooperation; 계약금을 낮추고 정보를 가져오는 것이 벤처 자본가의 역할
◆ the relative costs of entry and associated complementary assets necessary for entry; 시장 진입에 필요한 자산을 보완하고 진입 비용을 낮추기?

 

 

5. Growth and Liquidity

새로운 사업의 성장은 선형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앙트러프러너 팀은 계속 도전받기 때문이다.

창업자의 퇴사도 상당하다.

벤처의 양성과 성장만큼 이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