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JENNIFER W. SPENCER, THOMAS P. MURTHA, STEFANIE ANN LENWAY. (2005), How governments matter to new industry cre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 321–337.
발전하는 정부, 자본주의 경제가 새로이 나타나는 산업의 회사를 어떻게 돕고, 방해하거나 해를 끼치지 않을지에 대한 비교 프레임 제시
2. NATIONAL POLITICAL INSTITUTIONAL STRUCTURES
정부 정치 조직 구조: 기관의 모임, 행동 양식, 개념, 역할, 물리적 배열, 개인의 퇴사에 대비한 아카이브 등
TABLE 1. Collective Agency (How Statist?)
TABLE 2. Organization of Society (How Corporatist?)
Approaches to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위와 같은 정치 조직의 구분은 기술 기업가정신에도 해당
브리콜라주 앙트러프러너십은 집단 강조 연합주의의 협력, 합의, 네트워크의 측면과 가장 일치한다.
돌파방식은 개인 강조 연합주의의 개인주의와 경쟁과 더 일치한다.
Technology Policy Orientations
자본주의 국가의 기술 정책은 미션 기반, 확산 기반의 프로그램의 우세로 설명할 수 있다.
미션 기반: 원자에너지, 우주 등, 미국, 영국, 프랑스
확산 기반: 미션보다 회사의 의사결정, 펀딩에 주목, 독일, 스웨덴, 스위스
확산 기반 정책은 공동체 질서 강조
3. NATIONAL POLITICAL INSTITUTIONAL STRUCTUR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4개 유형의 정부 정치 조직 구조와 관련된 정치 네트워크의 특성
FIGURE 1. National Political Institutional Structur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ontrasting Liberal Pluralism(3) and State Corporatism(2) in New Industry Emergence
국가 민족주의는 인프라를 설립해 기술과 정책 디자인 및 보완에 대한 정보와 논의가 교환되도록 유도한다.
반면 자유 다원주의는 개인의 독립과 경쟁이라는 이상을 반영한다.
New Industry Emergence Under Social Corporatism(1): Network Capitalism and Weak States
사회 협동주의는 정부의 권력을 강화해 산업의 파트너로 삼지만 정부가 산업을 이끌게하진 않는다.
Industry Emergence in State Nations(4): State-Led Capitalism
국가 민족주의는 기술 정책 디자인 및 보완에서 국가 중심주의와의 균형을 맞출 사회 조직에서 활동하는 당사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기관화하지 않는다.
4. STATES’ CAPABILITIES, FIRMS’ CAPABILITIES, AND STRATEGIC OUTCOMES
정치 조직 구조는 새로운 산업 창조 전략을 제약하기도 하고 늘 정부가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전략도 제한한다.
정부와 국가의 관계는 회사의 경영과 조직 구조의 관계와 유사하다.
매니저는 정부가 정부 조직을 바꾸는 것에 비해선 회사의 조직 구조를 쉽게 바꿀 수 있다.
이는 국가 주도의 플랜에서 시장의 기관으로 정말로 느리게 이동하는 중앙 유럽의 기본적인 구조이다.
이런 구조는 많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이 가진 어려움일 수 있다.
발생단계의 기술과 산업은 이러한 도전을 받는 국가들이 처한 문제를 안고 있다.
기업과 국가가 이런 곤란에서 벗어나려면 정부가 자원 할당이나 시장에 개입하는 것을 최소화한 프로그램을 실행해야한다.
자원 할당을 회사의 권한이나 시장에 맡기지 않으려는 정책은 정책적 실현 가능성 실험을 반드시 해야 한다.
발생기의 산업이 위험을 실험하고 정부로부터 독립해 사업을 하려할 때, 정부는 보조적 역할에 충실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국가는 국가의 앙트러프러너적 문화, 국제 경제와 연합해 새로운 산업 창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데, 이는 산업의 전략이 조직 구조의 특징과 일치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