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Geoffrey Dest, Sandip Basu. (2013), Optimization or Bricolage? Overcoming Resource Constraints in Global Social Entrepreneurship, Strategic Entrepreneurship Journal, 7, 26–49.
자원 동원 모델로 최적화와 브리콜라주를 실험, 사회적 벤처가 둘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선행되는 조건에 대한 연구
발견점
사회적 벤처는 조직의 명성이 낮고 외부적 환경도 풍요롭지 못할 때 브리콜라주를 사용하고 명성이 높고 외부적 환경이 풍요로울 때 최적화 사용
2. SOCIAL ENTREPRENEURSHIP AND RESOURCE CONSTRAINT
사회적 기업의 두 가지 제약
1) 일반 기업처럼 영리를 추구할 수 없다.
2) 인구, 정치, 경제, 사회, 기술 등 거대한 환경적 힘이 사회적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에 제약을 만든다.
Resource mobilization by social ventures
최적화와 브리콜라주는 자원을 엮고 구조화하는데서 차이가 있다.
Optimization
최적화는 활용성이 증명된 표준화된 자원을 얻고자 한다.
그래서 계획된 미션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게 한다.
Bricolage
브리콜라주는 저평가된 자원으로 기회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그래서 자원 제약을 넘어서 미션을 확장할 기회를 포착하게 한다.
3. THEORY AND HYPOTHESES
Resource dependence theory
기업의 성과가 특정 자원 제공처와 뗄래야 뗄 수없는 관계가 되었을 때, 그 제공처는 관계에서 힘을 가지게되어 기업으로부터 과도한 이익을 얻으려 할 수 있다.
RDT and optimization
특정 자원 제공처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기업은 대체 자원을 찾는다.
RDT and bricolage
이 때 불완전한 자원으로 이것저것 해보는 making do로 방법을 찾아가며 대체할 자원을 찾는다.
Resource-based view
자원으로 경쟁력 높이기
RBV and optimization
최적화는 기업이 자원 조합의 시장 가격과 유틸리티가 자원의 합을 초과하도록 하고자 할 때 적절하다.
사회적 기업은 참신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RBV and bricolage
사회적 요구가 있지만 시장가격이 낮거나 불분명한 서비스나 제품에 적합하다.
Organizational prominence and resource mobilization
RDT는 이미 자리를 잡은 사회적 기업은 브리콜라주를 쓰지 않아도 됨을 보여준다.
이런 기업에서 RBV의 논리는 증가하는 브리콜라주 단계를 예측하는데 용이하다.
Hypothesis 1: The organizational prominence of social ventures has a U-shaped relationship with their adoption of a bricolage approach to resource mobilization.
가설1: 사회적 벤처의 조직적 명성은 자원 동원에서 브리콜라주 방식과 U자형 관계를 그린다.(유용하다가-안하다가-다시 유용)
사회적 기업이 오래될수록(유명해질수록) 표준적 자원 제공처는 기업과 기꺼이 관계를 맺으려 한다.
Hypothesis 2: The organizational prominence of social ventur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adoption of an optimization approach to resource mobilization.
가설2: 사회적 벤처의 조직적 명성은 자원 동원의 최적화와 정의 관계를 보여준다.
Environmental munificence and resource mobilization
환경적 풍요는 현직 회사가 자원을 잘 동원할 수 있는 것
환경이 풍요로우면 표준적 자원을 얻기가 쉽다. (RDT)
환경적 풍요가 극에 달하면 사회적 기업은 미션을 확장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찾아 브리콜라주를 사용한다. (RBV)
Hypothesis 3: The environmental munificence of host countries has a U-shaped relationship with the adoption of a bricolage approach to resource mobilization by social ventures.
가설3: 환경적 풍요는 사회적 벤처가 자원을 동원할 때 브리콜라주를 사용하는 일과 U자형 관계를 그린다.(궁핍할 땐 브리콜라주-풍요로워지면 최적화-풍요가 극에 달하면 브리콜라주)
환경적 궁핍에는 자원 제공처가 부족하고 최적화는 자원 동원에 부적합하다.
환경적 풍요가 커지면 표준적 자원 제공처 간의 경쟁이 생기고 최적화된 자원을 얻기가 용이하다.
Hypothesis 4: The environmental munificence of host countri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adoption of an optimization approach to resource mobilization by social ventures.
가설4: 환경적 풍요는 사회적 벤처가 자원을 동원할 때 최적화를 적용하는 일과 정의 관계를 보여준다.
4. METHODS
Sample and data sources
기술 활용 사회적 기업, 데이터베이스 사용, 42개국 202개 벤처 선정, 최대 38년 평군 7.2년 존속, 63개사 영리 131개사 비영리 8개사 정부 벤처
Dependent variables
최적화의 자원 동원 과정 / 브리콜라주의 자원 동원 과정
Independent variables
기업의 명성 / 환경적 풍요의 정도
Table 1. Example activities (summarized) for bricolage and optimization
표1. 브리콜라주, 최적화의 예시 활동
Organizational prominence
명성 측정의 3가지 기준: 존속기간, 규모, 수익
Environmental munificence
환경적 풍요 2가지 기준: Human Development Index (HDI) /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GCI)
Control variables
Social venture type
영리 / 비영리
Public interest sector
활동 영역: 건강, 교육, 환경, 평등, 경제발전
Founding location
설립 장소(와 현재 활동 장소의 일치)
U.S. venture
미국 기업인지
Project duration
프로젝트 존속이 자원 동원과 연결된다.
Funding source
외부 / 내부
Model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5.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Optimization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resource mobilization in social ventures(기술통계량)
Bricolage
Regression results
Table 3. Resource mobilization model with dependent variable = bricolage
브리콜라주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Table 4. Resource mobilization model with dependent variable =optimization
최적화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분석결과 사회적 벤처는 조직의 명성이 낮고 외부적 환경도 풍요롭지 못할 때 브리콜라주를 사용하고 명성이 높고 외부적 환경이 풍요로울 때 최적화 사용함이 확인되었다.
가설을 종합하면 최적화와 브리콜라주가 대체될 때와 서로 보완적일 때를 알 수 있다.
이 그림은 조직의 명성(존속기간, 규모)과 환경적 풍요(HDI, GCI) 곡선의 경사 사이의 차이를 알려준다.
Figure 1. Social venture use of optimization and bricolage at different levels of environmental munificence
(HDI, GCI) and organizational prominence (age, size)
6. DISCUSSION AND CONCLUSION
느낀점
브리콜라주를 다른 방법(최적화)을 비교하여 브리콜라주의 특성과 사용 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이 흥미로웠다.
질문
종속변수인 환경적 풍요를 측정할 때 사용한 Human Development Index (HDI) /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GCI)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했다. 그래서 그림1도 이해하지 못함.
왜 기술을 활용하는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했을까?
그림 1을 보면 브리콜라주는 U자형 곡선을 그리는데 이는 처음엔 감소하다가 나중엔 증가하는 형태로 보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