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s management/arts management(02)

M. L. Di Domenico, et al. (2010), Social Bricolage: Theorizing Social Value Creation in Social Enterprises

*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Maria Laura Di Domenico, Helen Haugh, Paul Tracey. (2010), Social Bricolage: Theorizing Social Value Creation in Social Enterpris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681-703.

 


발견점

사회적 기업을 분석하는데 브리콜라주의 개념을 적용하고, 이를 확장해 사회적 브리콜라주의 6가지 특성 모델을 구축해 보았다.

 

 

1. Introduction

 

사회적 기업의 4가지 특징

1) 영업을 통해 수익 창출: 비영리단체가 아님

2) 사회적, 환경적 목표 추구

3) 사회적 자본, 지역커뮤니티 유대 등 부가적인 가치 창출

4) 한정된 자원과 관련됨 *그래서 브리콜라주 개념이 적용될 수 있음

 

 

2. Conceptual Framework


Entrepreneurship and Resource Cooptation

사업엔 자원이 필요하고, 선행연구는 앙트러프러너가 한정된 환경에서 자원을 얻는 방법을 찾아왔다.

앙트러프러너의 네트워크와 사회적 조달, 재정 처리, 전략 달성, 브리콜라주 4가지

 

Bricolage and Resources

레비스트로스: 브리콜라주란 손에 있는 것으로 무엇이든 만드는 과정

이는 사회적 기업가 정신에서도 나타난다.

브리콜라주는 존재하는 상황에서 지혜를 짜내고 적응하는 것이었다.

나아가 브리콜라주는 획기적 전략을 넘어 한계를 부수는 것에 이른다.

이 making do와 refusal to be constrained는 실천적으로는 imprivisation으로 이어진다.

브리콜라주란 임기응변으로 나타난 자원을 설명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3. Methodology

Approach and Data Collection

8개 사회적 기업 인터뷰

Table 1 Social Enterprise Characteristics

 

Analysis

기존 3가지 브리콜라주 개념으로 인터뷰 분석

Table 2 Data Synthesis Table Used to Develop Conceptual Framework and Constituent Dimensions

기존 3가지 개념 + 3가지 개념을 추가해 인터뷰 분석

Table 3 Relations Between Concept Dimensions as Evidenced by Data and Coding Analysis Strategy Employed

 

 

4. Bricolag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Making Do

1) 이전에 없던 새로은 것을 만드는 것

2) 버려지고 사용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

3) 주목받지 못한 지역적 자원, 가치를 드러내는 것

 

Refusal to Enact or Be Constrained by Limitations

많은 사회적 기업이 기금 모금에서 창의적이며, 이는 현실 타개를 위해 한계를 부수는 행동을 볼 수 있다.

"different set of problems"

사회적 기업은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의무감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한다.

 

Improvisation

임기응변은 환경 제약에 대한 일반적 대응이다.

사회적 기업은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임기응변을 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 인력, 커뮤니티의 활용 등

 

 

5. Social Bricolage

Social Value Creation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한다.

필요가 있는 곳에 가서 기존의 방식을 바꾸고 어떻게든 처리하고 적응하는 식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Stakeholder Participation

모든 인터뷰 기업이 이해관계자들이 제작, 관리,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것을 언급했다.

참여는 프로젝트와 그에 대한 전략을 지원하는 활동이다.

인터뷰 사례에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얻는 것은 기존의 사회적 기업 구조를 바꾸고 새로운 구조에 적응하며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 것으로 이렇게 해서 환경적, 사회적 필요에 반응하는 것이었다.

 

Persuasion

설득은 우호, 감사 등의 호의적인 감정의 사회적 자산, 협상전략과 관련된다. 

환경적 제약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필수적인 전략으로 여겨진다.

3가지는 지금까지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맥락에서 체계적인 분석의 대상이되지 않았다.

나머지 3가지는 브리 콜라주 개념을 확장하고 우리가 사회적 브리 콜라주 개념을 도입하고 개념화 할 수 있게 한다.

Table 4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of Social Bricolage in the context of Social Entrepreneurship

 

 

6. Conclusion

 


 

 

느낀점

브리콜라주 개념을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여 모델 검증을 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기업에 적용할 더 확장된 '사회적 브리콜라주' 모델을 구축한 과정이 흥미로웠다. 기존 모델을 보충해 확장된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은 연구에 중요한 참고가 될 것이다.

 

질문

5 이해관계자의 참여 독려와 6 설득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해관계자로 하여금 사회적 가치에 공감하고 여기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 곧 설득으로 얻어진 참여가 아닐까?

5 이해관계자는 다른 분야 관계자로 사업 확장 및 자원 축적의 의미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고 6 설득은 같은 사회적 기업 간의 파트너십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