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James G. March. (1991),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 Science, 2(1), Special Issue: Organizational Learning: Papers in Honor of (and by) James G. March, 71-87.
요약
1. 구성원과 조직의 코드 사이의 상호 학습
: 개인은 조직의 코드를 교육받으며 신념을 바꿔간다.
: 조직은 코드 이상의 현실과 일치하는 신념을 가진 개인에게 적응해 현실감각을 익혀간다.
: 닫힌 시스템에서의 실험
그림1: 속도
그림2: 속도 혼합
그림3: 닫힌 시스템에 존재하는 오랜 지식
: 열린 시스템
그림4: 인원변동(턴오버)시 코드 습득이 느린(사회화가 느린) 쪽이 보다 완만하게 충격을 받는다.
그림5: 격동 상태일 땐 퇴보하기 쉬운데, 인원변동이 있으면 무난하게 지나가고 조직의 코드 지식도 유지된다.
격동이 없을 때 인원변동은 조직와 개인의 격차를 벌린다.
2. 경쟁
: 그림6: 경쟁자가 많을 때 사업 분산이 필요?
: 경쟁에선 상대적 위치가 중요하며, 높은 위치를 경쟁할 땐 변동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낮은 위치를 피하기 위한 경쟁에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직에서 오래된 확실성의 활용과 새로운 가능성의 탐험 사이의 관계를 연구
조직에서 지식의 발전과 사용에 대한 두 가지 일반적인 상황으로 실험
1 조직 구성원과 조직적 코드 사이의 상호 학습
2 업계의 탑이 되기 위한 경쟁과 보상 시스템
활용을 탐험보다 빨리 개선함으로써 적응 프로세스는 단기적으론 효과적이게 되지만 장기적으론 자기-파괴적이다는 결론을 얻었다.
*활용을 위해 투자했을 때는 성공가능성이 높지만 성공시에 보상은 크지 않은 반면,
탐험을 위해 투자했을 때는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성공시에 보상은 매우 크다는 특징이 있다.
1. The Exploration / Exploitation Trade-Off 탐험/활용의 교환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Theories of Organizational Action 조직 행동 이론에서 탐험과 활용
*선행연구
선택의 합리적 모델에서 탐험과 활용의 균형은 합리성 연구 이론에서 논의되어왔다.
제한적인 합리주의 이론에서 탐험과 활용 사이 선택에 대한 논의는 타겟의 역할이나 할당량 조절의 문제를 강조했다.
조직적 학습에서 탐험과 활용 사이의 균형 문제는 기존의 기술을 개선하는 것과 새로운 기술을 발명하는 것을 구분하며 나타났다.
조직 형태와 기술의 진화적 모델에서 탐험과 활용의 선택에 대한 논의는 변화와 선택의 쌍둥이같은 과정의 균형에 관한 용어로 정의되었다.
The Vulnerability of Exploration 탐험의 취약성
활용의 수익과 비교해보면, 탐험의 수익은 시스템적으로 불확실하고 시간이 걸리며 조직적으로 행동과 적응으로 곧장 이어지지도 않는다.
이런 어려움 떄문에 적응 과정은 탐험보다 활용에서 훨씬 빠르다.
실적이 활동의 잠재적 수익과 현재 조직의 경쟁력을 결합하는 것이기에, 조직은 경험에 따라 수익이 상승하는 것으로 본다.
The Social Context of Organizational Learning 조직 학습의 사회적 맥락
탐험과 활용의 교환은 조직의 사회적 맥락에서 어떤 특별한 특징을 보여준다.
사회적 맥락의 두 가지 특징을 살펴봐야 한다. 먼저 조직의 상호 학습과 그 안의 개인들이다. 조직적 학습의 두 번째 특징은 조직의 장을 위한 경쟁의 맥락이다.
2. Mutual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지식 발전에 있어 상호 학습
조직의 지식과 신뢰성은 (업무)지시, 사상 주입, 사례화의 다양한 형태를 통해 개인에게 퍼져간다.
A Model of Mutual Learning 상호학습모델
조직 지식의 발전과 전파에 관한 간단한 모델을 보자.
1 믿음과는 별개인 외부적 현실이 있다.
2 각 기간동안, 현실에 대한 믿음은 조직에서 각 개인과 조직에서 통하는 코드로 되어 있다.
3 조직 안에서 개인은 조직이 조직의 코드에 따라 교육하고 사회화시킴에 따라 자신의 믿음을 계속해서 바꿔간다.
4 동시에 조직의 코드는 코드 이상의 현실 차원과 일치하는 신념을 가진 개인의 신념에 적응한다.
그러므로 조직 지식의 전파 과정은 모든 측면에 대해 중립적인 신념으로 구성된 조직의 코드와 다양한 신념을 가진 일련의 개인들에게서 출발한다.
변수의 정의
①m: 각각 1 또는 -1의 값을 갖는 (신념과 별개인)현실의 차원
②n: 각 시간의 간격에 존재하는 조직 내 n명의 사람들
③P1: 조직 코드에 의해 교육되어 개인의 신념이 수정된 사회화 효과를 반영하는 매개변수
④P2: 조직의 우수한 집단의 지배적 신념에 조직의 코드가 순응한 사회화 효과를 반영하는 매개변수
⑤P3: 이직률 반영
⑥P4: 환경의 격변 양을 반영
Basic Properties of the Model in a Closed System 닫힌 시스템에서 모델의 기본적 특성
이런 (조직과 개인의) 상호 학습적 모델을 고정된 조직 구성원과 안정적인 현실에 처한 닫힌 시스템에서 살펴보자
현실은 구체적인 것이기에 특정 시점에서 지식의 상태는 두 가지로 평가된다.
1 조직의 코드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현실의 비율은 어느 때건 계산될 수 있다.
2 개인의 신념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현실의 비율은 어느 때건 계산될 수 있다. 이것이 기간에 대한 개인 차원의 평균적인 지식이다.
이런 닫힌 시스템에서 모델은 조직과 개인의 신념에 대해 시간에 따른 경로를 산출한다.
Effects of learning rate 학습 속도의 효과
FIGURE 1. Effect of Learning Rates (PI, P2) on Equilibrium Knowledge 같은 지식에 대한 학습 속도의 효과
p1: slower socialization
p2: faster socialization
p1은 코드를 빨리 배운 p2보다 균형잡힌 지식이 많았다.
사회화가 느릴 때(p1) 코드를 더 빨리 습득하는 것이 균형 잡힌 지식을 쌓게 했다. 하지만 사회화가 빠를 땐(p2) 균형잡힌 지식은 코드를 늦게 배울 때 갖춰졌다.
(*조직에 흡수되는 속도가 느린 개인은 조직의 코드를 빨리 습득해 현실과 조직의 믿음, 이상에 대한 균형잡힌 지식을 얻지만, 조직에 빠르게 흡수되는 개인은 조직의 코드를 늦게 습득할 때 현실과 조직의 믿음, 이상에 대한 균형잡힌 지식이 갖춰졌다.)
이전 연구에서 늦은 학습이 대안적 가능성을 더 많이 탐험했고 구체화된 경쟁의 발전에서도 균형감을 보여주었다.
Effects of learning rate heterogeneity 혼합적 학습 속도의 효과
코드를 통한 빠른 개인 학습은 개인 지식에 유리한 1차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지만 조직 지식의 향상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개인 향상은 조직에서 빠르고 느린 학습자를 혼합하는 것이 약간의 이점이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GURE 2. Effect of Heterogeneous Socialization Rates (Pi = 0.1, 0.9) on Equilibrium Knowledge 같은 지식에 있어서 혼합적 사회화 속도의 효과
그림2는 코드를 배우는 평균 속도에선 균형잡힌 지식의 관점에서 빠르고 느린 학습자를 섞어두는 것이 평균을 잘 반영함을 보여준다.
FIGURE 3. Effect of Heterogeneous Socialization Rates (p1 = 0.1, 0.9) on Period-20 Knowledge.
20기 지식에서 혼합 사회화 속도의 효과
(*조직의 20년동안의 지식? 닫힌 시스템에서의 효과를 보는 것이므로 오래된 지식이 맞을 듯)
그림 3은 느린 학습자 (p1 = 0.1)가 아닌 빠른 학습자 (p1 = 0.9)인 개인 집단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20기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즉, 느린 학습자 일부도 조직 학습에선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Basic Properties of the Model in a More Open System 열린 시스템에서 모델의 기본 특성
이런 결과는 더 열린 시스템에서 선택적 느린 학습에 관한 대안책을 검토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Effects of personnel turnover 인원 턴오버(*인원 변동?)의 효과
조직 코드에 대한 턴오버의 효과는 더 복잡하고 학습 속도와 턴오버 속도 사이의 교환을 반영한다.
FIGURE 4. Effect of Turnover ( p3) and Socialization Rate (pl) on Period-20 Code Knowledge.
20 지식에서 턴오버와 사회화 기록의 효과
그림4는 20기의 결과를 보여주는데, 두 가지 다른 사회화 속도의 가치를 보여준다.
*이해 못함
*일단은 인원 변동이 있을 때 조직의 코드 습득이 느린 쪽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인원 변화에 잘 적응하여 조직과 개인의 일치에 긍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이해
Effects of environmental turbulence 환경적 변동의 효과
배움과정은 결과까지 시차가 있기 때문에 지식을 배우는 것의 유익은 환경의 유동성에 달려있다.
FIGURE 5. Effect of Turbulence (p4) on Code Knowledge over Time with and Without Turnover (p3).
턴오버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시간에 따른 코드 지식에서 격동의 효과
만약 턴오버가 있다면 퇴보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5는 격동 상태일 때 시간에 따른 코드 지식의 평균 상태를 보여준다.
턴오버가 없을 때 코드 지식은 무난하게 올라가다가 떨어진다.
턴오버가 있을 때 퇴보를 피할 수 있고 코드 지식은 환경 변화에도 무난한 수준을 유지한다.
턴오버는 격동이 있을 떄 유용하지만 코드 지식과 조직 내 개인의 평균적인 지식 사이를 벌려놓는다.
*환경이 격동할 때 턴오버(*인원변동)가 있으면 새로운 환경(현실)을 인지하고 있는 개인들에 의해 조직의 코드 지식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다. 하지만 격동이 없을 때 턴오버는 조직과 개인의 간극을 벌린다.
3. Knowledge and Ecologies of Competition 지식과 경쟁 생태계
이전 섹션의 모델은 조직에서 적응하는 사회적 맥락의 한 측면을 보여주었다. 이는 개인의 믿음과 조직의 코드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방식이었다.
Competition and the Importance of Relative Performance 경쟁과 관련 활동의 중요성
특정 상황에서 조직의 실현된 성과가 평균값 (x)과 변동성 (v)의 일부 척도로 특성화 될 수 있는 확률 분포의 도출이라고 가정해 보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업계의 탑이 되기 위한 경쟁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FIGURE 6. Competitive Equality Lines (P* = 1/(N + 1)) for One (x'v') Organization Competing with
N (0, 1) Organizations (Normal Performance Distributions).
경쟁 균형 선(한 조직이 여러 조직과 경쟁할 때)
그림 6은 성과 분포는 평균 = 0이고 분산 = 1인 N개의 다른 조직과 경쟁할 때, 평균 = x 및 분산 = v '인 정규 성과 분포를 가진 조직의 경쟁적 성공 (실패)을 보여준다.
*평균과 분산의 반비례 관계?
*높은 자리를 노리는 경쟁에선 많은 노력을 들인다. 그 점에서 변동성이 높으며 그때문에 실패시 타격이 크다.
Learning, Knowledge, and Competitive Advantage 학습, 지식, 경쟁적 유익
모델은 분산의 증가가 평균의 감소를 보상할 수있을 것임을 알려준다.
심층적 논거는 경쟁에 대해선 작동하지 않았다.
경쟁은 상대적 위치에서의 특별한 경우이다.
상대적 위치가 변동성에 영향을 받고 경쟁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일반적 원칙은 어떤 위치에서든 사실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서 변동성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피하기 위한 경쟁에서 변동성은 부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유사하고 중복되며 독립적인 프로젝트는 단일하고 공통적인 노력보다 효과가 있을 것이다.
Competition for Relative Position and Strategic Action 상대적 위치를 위한 경쟁과 전략적 행동
경쟁에서 몇몇 개인의 성과가 독립적이라는 가정을 넘어선 주장을 할 수 있는데, 바로 가능한 성과의 분포으로부터이다. 그리고 분포는 경쟁자에 의해 독단적으로 선택되지 않는다.
이런 선택은 합리적으로 진행된 한 보통은 경쟁과 무관할 것이다.
4. Little Models and Old Wisdom 작은 모델들과 오래된 지혜
학습, 분석, 모방, 재창조, 기술변화는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경쟁 우위를 강화하려는 노력이다.
활용의 정수는 기존의 경쟁력, 기술, 패러다임을 개선하고 확장하는 것이다.
탐험의 정수는 새로운 대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그 대안은 불확실하고 아직은 거리가 멀며 종종 부적적이지만, 학습과 현실과 사이의 거리는 보통 활용보다 탐험에서 더 멀다.
이러한 적응 맥락의 특징은 알려지지 않은 대안을 탐색하는 대신 알려진 대안을 활용하여 평균보다 성능의 신뢰성을 높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기타
March의 조직 학습 이론
: 조직을 일종의 생명으로 간주하여(법인처럼) 조직의 구성원이 바뀌고 활동이 변하며 그것이 조직의 기억이 되어 조직이 학습을 해나가는 것으로 본 이롬
: 조직 진화론, 조직 생태론
: 조직의 창조성: 활용과 탐험의 균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때 조직의 창의성이 고취된다.
이러한 제도이론은 문화예술에도 많이 사용된다.
LEVINTHAL, D. A. & J. G. MARCH (1981), "A Model of Adaptive Organizational Search,"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2, 307-333.
LEVI-r, B. & J. G. MARCH (1988), "Organizational Learning," Annual Review of Sociology, 14, 319-340.
탐험과 활용은 두 기업이 전략적으로 제휴하여 특허를 제출하는 사례에 대한 연구에도 많이 활용된다.
: 탐험: 한 기업의 특허로 나머지 기업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 / 특허로 새로운 분야의 기술, 다른 분야의 특허를 얻는 경우
: 활용: 두 기업이 특허를 활용해 사업을 개발 / 같은 분야의 특허를 또 다시 얻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