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Heilbrun. J. (2001), Empirical Evidence of a Decline in Repertory Diversity among American Opera Companies 1991/92 to 1997/98,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5, 63–72.
1982/83-1997/98 기간의 미국 오페라 레퍼토리 변화를 조사
6년간 데이터 분석
7개의 측정
1. the aggregate number of companies; 회사의 수
2. the aggregate number of opera productions; 오페라 작품의 총 수
3. the average number of productions per company; 회사당 평균 작품 수
4. the aggregate number of 20th Century works; 20세기 작품의 총 수
5. 20th Century works as a percentage of all productions; 모든 작품에서 20세기 작품의 비중
6. the DiMaggio–Stenberg index of conformity (and its opposite, innovation) for the group; 순응하는 디마지오-스탠버그 인덱스
7.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the repertory in each year as measured by the Herfindahl Index, calculated on each opera’s percentage share of the total repertory: 매년 레파토리의 집중 정도를 허핀달 지수로 측정, 전체 레퍼토리에서 각 오페라의 비율을 계산
Table I. Seven measures of the character of opera repertory, 1982/83 to 1997/98
1. Growth of the Opera Industry
1기-2기 동안 큰 양적 성장
당시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위축되었었다.
1991/92-1997/98에는 오페라 산업은 안정세
오페라 산업이 성장할수록 결과는 최고점 4.98에서 정점을 찍고 점차 내려왔다. 이는 1997-8에 3.85로 최하점을 찍었다.
2. Production of 20th Century Works
심포니 오케스트라 때로 '19세기 음악의 박물관'으로 묘사되었다.
3. The Index of Conformity
순응의 지수인 디마지오와 스텐버그 지수는 한 회사에서 제작한 오페라를 그룹의 모든 회사에서 제작된 평균 오페라 수를 기록한다.
Opera/Columbus: 상당히 모험적인 회사
Kentucky Opera: 덜 모험적인 회사
Lyric Opera of Chicago: 오래된 큰 회사
4. The Popularity of Individual Operas
1997/98 년에는 마담 버터 플라이의 단일 오페라 작품 수가 24 개에 이르렀고, 그 다음 Tosca (19), The Marriage of Figaro (16), Carmen (15), La Bohème (12) 순이었다. 따라서 가장 좋아하는 제품만 생산하는 회사는 디마지오-스탠버그 지수에서 매우 높은 적합성 지수를 갖게되었다.
Table II. The five most frequently produced operas, 1982/83 to 1997/98
표2. 가장 자주 공연된 오페라 5개
5. The Herfindahl Index
허핀달 지수: 어떤 산업 내의 각 기업의 시장 점유율의 백분율을 제곱하여 모두 합한 값. 산업의 집중도를 측정한다.
매년 제작된 총 오페라 레퍼토리의 집중도를 측정
매년 미국 총 레퍼토리에서 모든 오페라의 주식에 대한 제곱 값의 합계를 계산
표1의 라인 7 허핀달 지수는 137.6에서 176.7로 증가
1982/83 년부터 1991/92 년까지 4.9 % 증가한 반면 1991/92 년부터 1997/98 년까지 22.4 % 증가
6. Time Pattern Displayed in Table I
전체적으로 표1의 시간상 패턴은 1991/2에서 레파토리의 다양성이 줄어들었다.
1. 20세기 작품의 수는 1991/2에 정점이었고 1997/8에 내려왔다.
2. 모든 오페라에서 20세기 오페라의 비중은 1991/2에 정점이었고 1997/8에 내려왔다.
3. 허핀달 지수에서 레파토리 집중도는 1997/8까지 꾸준히 올라갔다.
4. 순응 지수는 1982/3부터 1991/2까지 꾸준히 떨어졌다.
따라서 1982/3부터 1991/2까지 두 지수는 작품의 다양성이 상승함을 보이나, 1991/2에서 1997/8까진 다양성이이 떨어졌다.
7. Possible Explanations
1. 1991/2 이후 다양성의 하락은 연구한 그룹의 바뀐 구성에서 비롯되었다.
표1은 1980년대엔 다양성이 증가하고 1990년대엔 떨어졌다.
디마지오-스탠버그 지수의 결과는 시간의 영향에 대한 두 번쨰 가설을 알려준다.
표 1의 결과는 그 가설을 뒷받침한다.
1991/92에서 1997/98까지 마지막 4개 행은 각각 DiMaggio와 Stenberg가 예측 한 것처럼 레퍼토리 다양성의 현저한 감소를 보여준다.
여기에 나타난 다양성의 감소가 그룹 구성의 변화에서 기인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1982/83의 회사 중 1997/8까지 살아남은 1982/83 (원래 51 개 중) 47개 회사로 구성된 그룹을 구성했다.
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다는 가설을 분명히 뒷받침합니다. 적합성의 척도 상위 10개 오페라가 차지하는 레퍼토리의 비율이 더 높았다.
2. 1990년대에 상승한 예산의 압박은 다양성의 하락을 설명한다.
8. Musical Theater
20세기 오페라를 분석하니 두 유형의 회사가 있었는데, 하나는 전형적인 극을 만드는 회사로 보통의 레퍼토리를 섞어 공연을 제작했다. 나머지 하나는 '뮤지컬 극장'에 특화된 회사가 있었다. 뮤지컬은 '그랜드 오페라'보다 훨씬 작은 현대의 작품이었다.
9. What Is an “Opera” Anyway?
20세기의 작품으로는 브로드웨이 뮤지컬도 포함된다.
10. Conclusions
우리는 1982/83에서 1997/98까지 6 년마다 오페라 레퍼토리를 특징 짓는 7가지 측정법을 조사했다.
1990 년대 초부터 미국 오페라 회사들이 전체적으로 프로그램을 더 인기 있고 덜 까다로운 레퍼토리로 옮겨 왔다는 결론을 뒷받침한다.
*이 연구는 Agid P., Tarondeau J.C. (2007), Governance of Major Cultural Institutions: The Case of the Paris Opera 연구 16쪽에서 1990년 이후 오페라 레퍼토리가 경제적 생존을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였음을 보여주며 인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