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ia Bagdadli, Chiara Paolino. (2006), Institutional Change in Italian Museums: Dose the Museum Director Have a Role to Play?,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8(3), 4-18.
발견점
제도의 변화에 따른 조직의 반응을 리더의 반응으로 살펴보았다.
제도 이론은 제도의 변화가 조직에게 비슷한 활동이나 구조를 받아들이라고 강요하여 적법성과 지지를 얻음을 강조했다.(디마지오와 포웰 1983)
만일 조직이 제도의 요구에 순응하면, 조직은 적법성과 사회적 수용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제도가 조직의 승인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그려서) 어떻게 그리고 왜 제도와 조직이 변하는지에 대해선 설명하기 어려웠다.(디마지오와 포웰 1991)
그럼에도 새로운 제도 이론은 여전히 어떤 조직적 행위자가 제도의 압력을 받아들이고 더 역동적인 전략을 채택하는지에 대한 조건에 대해선 모호하다.
이런 이론의 갭을 채우리 위해 우리는 이탈리아 뮤지엄을 연구한다. 이탈리아국립과학기술박물관
2.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opositions
The Avoidance of De-coupling(비동조화), Active Change and It: Effects on Organizational Survival
제도와 조직의 변화
조직의 행위자가 어떻게 제도적 변화가 시작되고 적법해지고 퍼져가는지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
조직 행위자의 가치, 인식, 관심이 채택의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비동조화를 피하는 것이 실제로 조직의 생존에 위협이 되는지에 대해 논의하지 못했다.
*디커플링: 사회적 강요, 요구되는 바람직함에 맞추기 위해 기존의 관행과 다르거나 수익이나 효율 등이 낮아도 이를 희생하여 맞추어가는 것, 따라야할 목표와 추진 방식의 괴리로 인해 디커플링이 발생
*동형화는 디커플링의 원인? 동형화되며 디커플링이 발생(따라가면서 괴리가 생김)
*리더가 디커플링이 일어날 때 다시 커플링을 해야함
*리더는 동형화를 요구받고 그래서 발생하는 디커플링도 다루어야 함. 곧 리더는 변화를 채택하고 변화 방안을 모색하며 조직의 결합을 이루어야 한다.
*디커플링에 따라 리더는 다시 커플링을 해갈 때 리더 각자의 배경에 따라 다른 전략을 활용한다?
연구목적 1) 어떻게 조직의 리더들이 디커플링(비동조화)을 피하고 효과적인 변화를 시행하여 긴밀하게 엮인 조직을 만들어내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연구목적 2) 조직의 형식적 구조와 일상적 활동에서 리더들의 행동의 결과를 분석해 긴밀한 공조가 조직의 적법성과 기술적 활동에 위협이 되는지를 실험한다.
가설 1) 조직의 리더는 제도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그러므로 긴밀하게 연결된 조직을 구성한다.
가설2) 긴밀하게 연결된 조직은 적법성과 기술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준다.
Fit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der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조건을 밝혀내기 위해 우리는 제도연구에서 변화를 더 전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런 방향의 연구는 리더의 관심과 가치, 필드의 특징과 제도의 변화 사이의 연결을 보여주었다.
많은 실증연구가 경영자의 배경, 전략의 선택과 전략의 효과 사이의 관련을 확인했다.
제도와 전략적 접근의 통합에서 조직의 전략, 조직 리더의 배경, 환경적 요구가 합치되고 변화는 태책될 뿐 아니라 성공하게 된다.
가설 3) 역동적 변화와 그 효과 및 적법성에 대한 영향은 조직 리더의 경험, 채택된 전략, 환경적 요구 간의 합치에 달려있다.
3. Methodology
Research Context
이 연구는 조직의 리더가 직면한 제도적 압력이 사회적 기술적 성공을 이끄는 행동을 채택하게 할 수 있는 조건을 연구했다.
*어떤 조건에서 조직의 리더는 자신이 직면한 제도적 압박에 대한 반응을 사회적, 기술적으로 성공으로 이끄는가?
이하 연구대상선택
Method
기간: 1999-2003
이 기간의 뮤지엄의 진화와 디렉터의 공식 발표가 키 이벤트
인터뷰
문헌연구로 제도적 압박을 검색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조직 리더의 역할: 롬바르디 지역의 규정, 규정과 뮤지엄의 관행간의 중복 정도, 지역 규정이 다른지역까지 확장되었는지
커플링: 뮤지엄이 조직과 긴밀한지
효율성: 재정적 자율성,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 서비스의 양과 질, 관람자 수, 컬렉션 수
적법성: 조직의 주요 타킷에게 어필하고 펀딩을 끌어오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증명을 받고 대중의 지지를 얻으며 내부적 지지를 살펴보았다.
4. Results
내외부 자료를 살펴보며 뮤지엄이 처한 제도적 변화에 수반된 주요 이슈를 찾았다.
단일 사례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변수는 공식, 비공식적 보고서, 인터뷰 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비교했다.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Tightly Coupled Organization
이사는 경영 갱신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고 그의 진술과 효과적인 조직의 움직임은 정리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제도의 변화에 따른 조직의 변화
Role of the organizational leader
지방정부에 의한 제도적 변화는 지역 네트워크의 촉진, 뮤지엄 전문성의 발전, 클라이언트에게 어필하기 였다.
분석결과 뮤지엄의 새 경영 활동은 이런 것들이 뮤지엄에 국한되고 지역보다 이사의 과거 경험에 연관됨이 나타났다.
뮤지엄의 참신함과 자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다른 뮤지엄의 변화 과정을 분석했고, 롬바르디의 다른 뮤지엄은 뮤지엄이 모방할만한 것이 아니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뮤지엄의 혁신과 선행학습이 지역의 압박과 연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기서 리더의 역할은 자신의 경험에 따라 지역의 압박에 대응
The tightly coupled organization
새로운 전략에 대한 이사의 진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전통 뮤지엄과 혁신 과학 센터 컨셉의 통합
(2) 커뮤니케이션, 대중 교육, 보존, 콜렉션 등에 대한 투자 증가
(3) 새로운 경영 활동 실행: 인적 투자, 자금 등
(4) 문화 성장에 따른 서비스 발전
(5) 국가와 유럽 단위의 실현가능성 증가
(6) 롬바르디 내 네트워크 강화
전통 뮤지엄과 과학 센터의 통합(진술 1,2)
새로운 경영 활동 실행(진술3)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연대(진술 4,5,6)
이런 활동들이 확실히 뮤지엄 리뉴얼의 신호임에도 이를 도입하는 것에 저항이 없진 않았다.
*위 3가지의 제도적 변화 및 압박에 조직이 변할 필요가 있었다.
Mechanisms of control and coordination
새 이사는 내외부적 통제 매커니즘을 도입하고 활동들의 연대를 촉진했다.
이런 관찰은 이사가 통제와 협력의 원리를 시행하려 노력한다는 뜻이지만, 그 과정의 복잡함을 전달하기엔 충분하지 않다.
인터뷰 데이터는 유용
Efficiency and Legitimacy
가설 2의 증명
Efficiency
서비스: 새로운 이사 취임 후 관람자 수와 수익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그림1,2)
인적 자원에 투자: 새로운 이사 취임 후 고용인, 외부 협력자 모두 증가
특히 새로운 업체와의 계약 증가는 (*변화를 받아들이는 일이라서) 중요하다.
콜렉션과 건축: 콜렉션 증가와 새 건물 론칭
재정: 새로운 서비스로 인한 수익 뿐 아니라 기금 모금으로 인해 수익이 증대
Legitimacy
주요 타깃층에게 어필하고 개별 펀딩을 이끌어내기: *새로운 이사 취임 후 변화가 있었다.
그림4. 프로젝트성 기금의 증가
증명: 교육 서비스에서 증명 시스템을 획득
대중 의견: 미디어의 반응이 새 이사 취임 후 좋아졌다.
내부의견:
5. Discussion: Congruency of Leader, Field and Strategy
가설 1) 조직의 리더는 제도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그러므로 긴밀하게 연결된 조직을 구성한다.
뮤지엄의 리더는 제도 변화의 압박에 피상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변화 방안을 모색했다.
가설2) 긴밀하게 연결된 조직은 적법성과 기술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준다.
제도적 압박이 있을수록 조직 내부의 갈등은 약화됐다.
가설 3) 역동적 변화와 그 효과 및 적법성에 대한 영향은 조직 리더의 경험, 채택된 전략, 환경적 요구 간의 합치에 달려있다.
느낀점
짧은 기간의 변화를 포착한 점이 인상깊었다. 특히 짧은 기간임에도 문헌조사를 통해 제도적 변화의 자료를 찾을 수 있었던 점이 흥미로웠다.
질문
새로운 이사의 과거 이력이 작용한 변화는 어떤 것이 있나?
하나의 사례로 제도의 변화와 조직의 변화에 대한 조건을 설명하는 것이 신뢰성이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