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s management/arts management(02)

C.Steinle, H.Schiele. (2002), When do industries cluster? A proposal on how to assess an industry’s propensity to concentrate at a single region or nation

Steinle, C., Schiele, H. (2002), When do industries cluster? A proposal on how to assess an industry’s propensity to concentrate at a single region or nation, Research Policy, 31, 849–858.

 

Hyung-Deok Shin, Hun Lee. (2013), Disentangling the Role of Knowledge Similarity on the Choice of Alliance Structure,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30, 350–362. 360쪽에서 두 파트너가 상이한 지식을 가진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더라도 파트너십이 효과를 발휘할 조건이 있다는 맥락에서 인용되며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지식의 기반이 상호보완적일 땐 더 계층적 거버넌스나 동맹 구조에 기반한 평등을 선호한다는 맥락에서 인용되었다. 상이한 지식을 가진 기업이 파트너십을 맺을 때 상호보완적인 기업이라도 클러스터링의 조건에 따라 파트너십을 더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는 맥락으로 인용된 듯.

 

발견점

클러스터링하기에 적합한 기업의 조건과 환경적 조건을 살펴보았다.

 


1. The need for considering the process of clustering

 

1.1. Centralisation as a consequence of globalisation in industries subject to clustering

 

1.2. Advantages of companies being located in clusters: reduced costs of co-ordination improving efficiency and innovation

 

 

2. Conditions for clustering

 

2.1. Necessary conditions (NC): divisibility of process and transportability of product

 

2.1.1. NC1: divisibility of process as necessary condition for clustering

생산 과정이 나뉘기 쉬운 제품과 서비스

 

2.1.2. NC2: transportability of the final product as necessary condition for clustering

운송료가 싸고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

 

2.2. Sufficient conditions (SC): flexible co-ordination of several distinct actors

 

2.2.1. SC1: long value-chain: co-ordination of multiple components to form one final product

가치사슬이 길어 완제품까지 여러 단계를 거침

 

2.2.2. SC2: diversity of competencies: multiple dissimilar, but complementary competencies

하나의 완제품을 제작하는데 있어 여러 상이한 지식이 활용되는 것

 

2.2.3. SC3: importance of innovation: network-innovations as a motor for agglomeration

더 상호보완적인 행위자는 혁신의 과정에 공헌한다.

산업의 발전이 네트워크 혁신으로 이루어진다면 이런 산업이 클러스터링에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2.4. SC4: volatility(휘발성) of market: rewarding flexible adaptation

 

 

 

3. Summary and conclusion: sharpening the accuracy of cluster-based tools for management and policy

클러스터링 확률이 높은 기업의 조건(필요조건)

생산 과정이 나뉘기 쉬운 제품과 서비스(divisibility of process)

운송료가 싸고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transportability of product)

 

클러스터링의 충분조건(환경적 조건?)

구성 요소가 각기 다른 과정에서 생산되는 제품과 서비스(long value-chain with distinct competencies)

생산 방식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변화된 제품으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network-innovations)

소비자의 요구가 예측하기 어렵게 변하지만 이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market vola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