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s management/arts management(02)

C. Oliver. (1991), Strategic Responses to Institutional Processes

Christine Oliver. (1991), Strategic Responses to Institutional Process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6(1), 145-179.

 

발견점

 

 


 

이 논문은 제도적 압력에 따라 조직이 행동하는 전략적 반응을 분류하고, 대안적 전략이 일어날 수 있을지 예측하는 개념적 프레임을 짜본다.

목표는 제도적 프레임과 자원 의존의 프레임을 비교해 조직의 지속성과 제도적 압력에 순응하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보완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2. COMPARISON OF INSTITUTIONAL AND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S 

표1은 제도적 관점과 자원 의존 관점의 비교

최영진. (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평판 - 도요타와 현대차의 비교 연구-, 사회과학연구, 17(2), pp. 194-239.

 

 

Convergent and Divergent Emphases

 

Context

조직은 외부 환경에 반응하고 생존을 위해 외부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한다.

자원의존 이론은 조직이 외부의 수많은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한다고 본다.

제도적 관점과 자원의존 관점의 차이는 먼저 조직을 강제하는 힘을 무엇으로 보느냐로 제도적 관점에선 규범이고 자원의존 관점에선 자원의 희소성이다.

 

Motives

두 관점 다 조직은 안정성과 정당성을 추구한다고 본다.

안정성을 추구하는 동기에 대해선 두 관점의 설명이 다르다

제도적 관점(이론)에선 조직의 구조, 활동의 모방과 재생산이 제도적 압력, 기대, 집단의 개념이라는 제도적 환경에서 비롯한다고 본다.

자원의존 이론에선 조직의 안정성이 권력행사와 통제나 상호의존에 의한 협상을 통해 얻어지는 것으로 필수 자원을 안정적으로 얻고 예측하고 환경적 불확실성을 줄이려는 동기로 본다.

또 둘 다 조직의 정당성을 추구하지만 여기서도 다르다.

제도 이론에선 존재하는 기준에 순응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고 본다.

자원의존 이론에선 존재하는 기준에 맞추기위해서라기보단 자원을 융통하기 위해 정당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두 이론은 환경에 대한 조직의 반응과 외부의 요구과 한계에 조직이 순응하는 전략에서 각기 다른 입장을 취한다.

 

Implications for Strategic Responses to Institutional Processes

제도 이론의 전략 반응

제도 이론은 조직이 제도적 환경에 반응하고 관계맺는데 대한 흥미로운 관점을 보여준다.

제도 이론(제도적 관점)은 어떻게 선택하지 않는 행동이 습관, 전통, 편리함, 사회적 의무를 통해 일어나고 지속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이러한 행동이 조직의 주요 관심과 관련되거나 조직의 효율이나 통제력에 보탬이 되지 않음에도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Tolbert, 1985; Tolbert & Zucker, 1983; Zucker, 1983).

제도 이론은 또한 조직 행동에서 국가, 사회, 문화적 압력에 대한 인과적 영향에 관심을 가지는데, 이는 시장이나 자원부족과는 반대되는 관심이다. 이는 역사, 규범, 합의적 이해에 대한 영향에 관한 것이며 환경의 제약에 대한 조직적 동일성에 대한 이해일 수 있다.

또 이러한 제도 이론은 전략적 적응과 달리 외부 환경에 대한 수동적 묵인이 어떻게 사회의 지속(유효성)과 조직의 생존에 기여하는지, 어떻게 효율, 자동화, 교환가치가 아닌 신화, 의미, 가치가 외부적 압력의 맥락에서 조직의 행동을 추동하고 결정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3. A TYPOLOGY OF STRATEGIC RESPONSES TO INSTITUTIONAL PROCESSES

 

표2는 제도적 압력이 있을 때 조직 반응(전략)에 대한 제도 이론의 정리

Acquiescence 

 

 

4. PREDICTORS OF STRATEGIC RESPONSES

 

제도의 압력에 대한 조직이 순응하는지는 5가지 질문에 달려있다.

왜 이런 압력이 있는가?

누가 압력을 가하는가?

이 압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어떤 수단이 압력에 사용되나?

어느 부분에 압박을 받는가?

*이런 질문에 따라 조직의 순응 반응이 달라진다.

 

표3은 선례를 통해 이런 압력에 대한 반응으로 선택하는 전략을 설명(예상)한다.

표3은 압력의 종류를 나누어보았다.

표4는 선례로 볼 때 압력이 있을 때 조직이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략을

표4는 표3에서 살펴본 외부적 압력의 종류에 따라 조직이 선택하는 전략의 정도를 확인

 

 

5. CONCLUSION 

 

제도적 압력에 대한 전략을 밝히기 위해 이 논문은 저항 전략의 결과를 다루진 않았다.

 

이 논문은 조직이 제도적 환경의 룰이나 기대에 항상 순응하진 않는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