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담당자가 글을 요약하고 관련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저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Stéphane Debenedetti. (2006), The role of media critics in the cultural indus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8(3), 30-42.
*Pawan V. Bhansing, Mark A.A.M. Leenders, Nachoem M. Wijnberg. (2017), Scheduled Audience Capacity for
Performing Arts Productions: The Role of Product Innovativeness and Organizational Legitimacy,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20(1), 63-77. 66쪽 두 번째 칼럼에서 문화산업에서 사회적 평가, 곧 비평이 예술적 적합성과 혁신에 대한 제도적 수용의 도구로 작용한다는 맥락으로 인용되었다.
발견점
문화적 시스템 혹은 필드의 한 구성요소로서 미디어 비평을 다룬며, 비평이 대중, 작가, 아트 매니저, 예술계 전체 각각에서 작용하는 각기 다른 역할을 조명했다.
2. What Is Media Criticism? Definition and Implications
비평은 저널리스트-정보제공자로 규정되는데, 이때 둘의 독립성은 문화산업에선 아직 의문 지대이다.
The Critic as Independent Influencer
비평 담론의 3가지 요소
(1) 기술, 정보적 요소
(2) 해석 맥락의 분석적 요소
(3) 판단 맥락의 평가적 요소
정보 제공 측면에서 비평은 미학적 비평(아카데믹, 역사적 비평), 미디어 비평(현재, 대중 관점의 비평)
비평의 또다른 근본적 특징은 제작과 무관하다는 점이다.
Criticism and Promotion
독립적인 비평주의는 상업적 프로모션과 대척점에 있다.
그러나 비평과 시장의 공모는 문화 리뷰 생태계에 3가지 변화를 가져왔다.
(1) 평가하는 리뷰가 설 자리가 줄어간다.
(2) 프로모션적인 네오-비평의 등장
(3) 비평이 프로모션 활동에 직접 연관
그럼에도 아직 비평이 완전히 죽지는 않았다.
3. The Field of Media Criticism: Collective Functioning(집단적 기능) and Individual Strategies
시장과 함꼐 움직이는 비평은 작품의 성공에 장단기적으로 영향을 준다.
Do Critics Agree? The Origins of Critical Consensus
많은 작가들이 예술 비평 필드에 어떤 작품과 작가에게 비평가가 주목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단단한 합의가 있다고 말한다.
합의는 작품에 대한 주목이 순수하게 작품의 미적 가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제도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에서 비롯한다.
다른 측면에서 합의는 비평가들이 강한 미적 이데올로기를 공유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또 비평가의 선택을 평준화해버리는 시장의 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평의 다양성과 개인의 전략은 미디어 비평의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발견할 수 있다.
Critical Discord(불화)? Disagreement Strategies and Segmentation of Critical Offerings
비평가들은 동의와 반대 전략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작가와 다른 비평가의 자리를 결정한다.
비평의 영역에서 일치, 구별, 동화에 대해 어떻게 합의가 되는지?
(1) 동화는 유사한 비평들에서 작동한다.
(2) 구별 혹은 반대 전략은 여러 비평군 내에서 더 타당한 비평가가 사용한다.
(3) 비평적 주목은 비평적 평가와는 다르다.
비평가들은 어떤 작품에 주목할 것인지에 대해선 합의할 수 있으나 작품을 리뷰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4. The Role of Media Critics
비평이 대중, 작가, 아트 매니저, 예술계 전체 각 관점에서 하는 각기 다른 역할
Critics and the Public
비평은 대중의 선호에 영향을 주어 작품의 운명에 영향을 미친다.
또 비평의 영향은 비평가와 독자 간의 사회적, 문화적 거리에 달려있다.
그리고 소비자가 지식을 과시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Critics and Artists
비평은 작가에겐 예술적 가치를 측정하는 도구가 된다.
비평가들의 합의가 작가의 명성을 구축한다.
또 비평은 규제 및 허가 기관 같은 문화 제도에 참여하여 작가의 커리어에 직접 영향을 준다.
Critics and Marketing
비평은 아트 매니저에겐 효과적인 홍보 방식이다.
또 비평 자체가 홍보의 자료로 활용된다.
작은 회사, 기관일수록 홍보에 비평은 중요하다.
비평은 또한 시장 진입 이전의 신호를 확인하는 데 중요하다.
Critics and the Cultural Field
문화산업에서 비평주의는 두 가지 기능을 한다. 하나는 혁신에 대한 제도적 규제, 다른 하나는 예술계의 예술적 정당화
소비와 공급이 있는 문화산업에서 비평은 작품을 선택하는 과정에 개입한다.
예술계의 자율성을 측정하는 척도로 예술적 정당화와 관련된다.
5. Some Avenue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