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ry Hillman Chartrand (1998). Art and the Public Purpose: The Economics of It All.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28(2), 109-113.
발견점
예술산업에는 응용예술(건축, 디자인), 예술가조합(의 활동), 예술을 통한 교육까지 포함되어야 예술이 고립되지 않고 산업을 유지할 수 있다.
92개 예술단체를 조사
1. 범위(definition) 2. 포괄성(Inclusiveness)
Definition
예술산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부족해 경제 영역에서 효과적인 경쟁이 불가능하다.
예술산업은
a) 예술을 주요 요소로 사용하는 부문(디자인, 광고, 패션)
b) 예술을 소비와 연결해 사용(엔터테인먼트 하드웨어, 잡지, 신문)
c) 예술이 최종 결과물인 부문(문학, 미디어, 무용, 시각예술, 문화유산)
b) tied-good
수집품이나 비디오카드 등의 특정한 설비가 있어야 사용이 가능한 제품에 녹아든 예술산업적 요소가 있는 예술부문이다. 이를 예술에 포함시키면 예술산업의 범위틑 꽤 크다.
Inclusiveness
영리, 비영리, 공공 부문으로 예술산업의 모든 시장을 포괄하긴 어렵다.
*오히려 다음의 구분이 낫다는 주장?
디즈니는 기업이지만 그 IP로 비영리공연 단체가 성공한다면? 이런 복잡성이 있다.
그래서 응용예술 / 예술가조합 / 예술을 통한 교육 으로 구분해보고자 한다.
The Applied and Decorative Arts
건축, 디자인 등 생활 환경의 시각 부분을 담당하는 예술이다.
*여길 예술산업에 포함하면 예술산업의 범위는 커진다.
Art Labor Unions
예술산업에서 조차도 예술가 조합은 경영과 긴장관계를 유지한다.
Education through Art
예술교육은 스킬이 아니라 예술을 앎의 방법으로 보고 다문화, 초국가적 마인드를 갖추게 한다.
예술교육의 4단계
(1) 스킬
(2) 스킬발전: 예술이 되는 단계
(3) 전문가에게만 보이는 부분을 교육: 이론 등
(4) 앏의 방법으로서의 예술 교육
Implications
이 세가지(응용미술, 예술사조합, 예술을 통한 교육)가 없으면 아름다움과 실용적 가치를 연결할 수 없다.
실용적 예술을 예술산업이 품지 않는 것은 예술을 고립시킨다.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