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thodology/construction

질적 연구 논문 구성(사례연구의 경우, 예시)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논문의 구성(사례연구, 예시)

 

 

 

1 서론

 

주제의 중요성

  : 시의성(최신의 트렌드임을 알림, 수치적 증명, 실용적, 미래적 가치를 알림)

  : 학문적 가치(관련 논쟁을 제시, 학문적 논쟁의 여지가 있음을 알림)

  : 연구질문 제시
: 주제를 한 마디로 말할 수 있어야 하며 이 때 ‘어떤’이란 단어를 쓰지 말 것
: 주제란 1인지 2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는 메시지로

 

주제에 관한 선행연구 흐름을 간략히 제시

  : 선행연구의 흐름을 내가 구성해 몇 가지 지류로 분류

  : 이 흐름에서 비어있는 곳을 발견, 제시해야 내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수 있음

  : 여기서 선행연구자를 주어로 밝히는 것은 연구의 분류를 묶어내는데 좋지 않음

  : 같은 맥락에서 한 문단에 한 가지 연구를 요약하는 것이 아니라 내 문장을 먼저 쓰고 여러 개의 인용을 기재

 

연구의 목적

  : 연구의 목적과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제시

  : 선행연구 흐름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미비한 점을 제시

  : 선행연구의 지도에서 본 연구가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이론적, 모델적 공헌점 쓰기)

  : 발견한 것은 서론에서 제시하지 않음

 

논문의 구성

  : 2장, 3장 ... 에서 무엇을 할지 밝힘

 

 

2 본론: theory building

 

주제의 정의

  : 주제를 정의해 범위를 한정(조작적 정의)

 

이론적 배경 제시

  : 이 과정에서 서론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지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

 

개념의 구체화

  : 개념에서 개념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설계

  : 선행연구에서 찾은 개념이 주제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설계해 제시

    (예: Elisa Hernando, Sara Campo (2017), Does the Artist’s Name Influence the Perceived Value of an Art Work?

         마케팅에서 브랜드 가치 개념을 미술품 시장에서 작가의 이름에 적용하며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 개념 제시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는 구매를 유도하는지, 브랜드 가치만으로 구매를 하는지에 초점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가치의 기능과 유익을 제시: 불확정성을 줄이고 구매 후 만족도가 높음

                    작가의 브랜드 가치는 제품과 마찬가지로 품질과 만족에 영향

                    곧, 소비자 관점의 브랜드 가치가 중요하게 제시하는 구매 후 만족이 미술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

         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배경을 설계)

 

이론적 배경 = 선행연구

  : 선행연구는 연구할 분야(한류, 미술, 뮤지컬 등)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개념(사회적 브리꼴라주, 동형화 등)에 대한 연구여야 함

  : 분야에 대한 연구 흐름은 생략하거나 연구의 필요성에서 개념 설명 후 이해를 돕기 위한 수준에서 간단히 언급

  :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해 이 흐름에서 본 연구의 차별점과 위상을 설명해야 함

 

 

3 모델

 

개념 간의 관계로 모델을 구축

  : 2의 theory building은 개념 간의 관계를 구축해 모델로 만드는 것

  : 개념 간의 관계 구축은 모델을 설계한 이유, 근거가 됨
: 선행연구가 모델에 미친 영향: 선행연구의 모델 중 어떤 것을 변형한 경우 이전 모델을 밝혀야 함

 

사례가 해당되는 모델, 분석틀을 제기

  : 사례연구는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 아닌 모델을 검증하는 연구

  : 모델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이 됨

  : 모델이 반드시 도식일 필요는 없음

  : 선행 연구를 분류, 종합, 재구성해 논리적인 모델을 스스로 제시할 수도 있음

  : 기존 학자의 이론, 주장, 모델을 가져온 경우 누가 했는지 밝혀야 함

    (예: J.H.Park & H.D.Shin (2020). Social Bricolage in the Arts: Cheongna International City Culture Art Academy Case

        Di Domenico et al. (2010)의 사회적 브리꼴라주 이론을 모델로 제시해 국내 사례를 적용

        사회적 브리꼴라주 이론을 모델로 적용한 선행 연구를 함께 제시해 모델의 설득력을 높임)

 

이 단계까지는 사례에 관한 언급을 하지 않음(4에서 사례를 언급)

모델을 표로 제시할 경우 사례를 구분하고자 할 때 사례를 언급하지 않고 사례의 성격을 써서 모델과 사례가 한 표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함

모델은 가능한 간략하게
용어설명이 필요하면 별도의 슬러이드로 제시

 

 

4 사례분석

 

모델 검증

  : 모델에 따라 사례를 분석

  : 모델과의 일치여부를 확인

 

 

5 결론

 

발견한 점

  : 사례분석을 통해 발견한 모델의 구조 요약, 일치여부 확인

 

연구의 공헌 및 시사점

  : 학문적 공헌 / 실무적 공헌 / 정책적 공헌

  : 저자의 의도

 

연구의 한계

  : 연구의 한계가 발생한 사유

  : 후속 연구의 가능성

 

 

'methodology > constru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적 연구 논문 구성(예시)  (0) 202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