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Baddeley. (2013). Herding, social influence and expert opinion
Michelle Catherine Baddeley. (2013). Herding, social influence and expert opinion, Journal of Economic Methodology, 20(1), 35-44
Nadine Escoffier, Bill McKelvey. (2015), The Wisdom of Crowds in the Movie Industry: Towards New Solutions to Reduce Uncertain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17(2), 52-63. 56쪽에서 대중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로 언급되며 가벼운 사회적 영향도 집단지성 효과의 유용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맥락에서 인용되었다.
발견점
사회적 영향이 전문가나 아카데믹한 의견에 미치는 양상에 대해 연구로 연구 결과와 같은 확실한 의견은 전문가의 의견 형성에 작용하지만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개인의 경험이나 신념 등에 치우치기도 한다. 곧 전문가조차도 사회적인 영향을 받으며 자신의 의견을 잘못 설정하기도 한다.
2. Standard economic approaches to learning, beliefs and expectations
3. Beliefs and expectations with bounded rationality
4. Social influences on expectations and beliefs
믿음이 행동에 주는 영향
전문가에 대한 동조는 견고한 구조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약한 사회적 영향이 중요하게 작동할 때에도 일어난다.
4.1 Social influences in economic analysis
4.2 A model of social influences on expert beliefs
개인이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거나 반대하는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연구자들은 동조하기도 하는데 이때 리워드는 처음엔 올라가다가 동조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줄어든다.
반대할 경우 리워드는 줄어들지만 반대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완만해진다. 이는 이들이 새로운 지식의 동조자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조하는 쪽에 리워드가 크다는 것은 올바른 지식을 축적해가는 사회적 유익과 무관하게 개인의 이익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조의 관점에 치우쳤을 수 있다. 그래서 안정적인 결과는 동조에 '과편향'되었을 것이다.
5.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동조는 리워드에 대한 개인의 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어린 연구자들.
그런 점에서 사회적 영향이 전문가의 의견에도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동조, 합의 의견은 투자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금융뿐 아니라 규제 기관과 신용 평가 기관에게도 왜곡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